안녕하세요 배 나온 노인네입니다 월급 180도라도 안정적이고 연금이 나오는 공무원 공부를 몇 년간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월 300 받는 계약직 전기 기사를 따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배 나온 노인네입니다 월급 180도라도 안정적이고 연금이 나오는 공무원 공부를 몇 년간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월 300 받는 계약직 전기 기사를 따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자님께서 안정적인 연금과 월급을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면 공무원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무원 시험은 경쟁이 치열하고 준비 기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이러한 점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반면, 빠르게 수익을 원한다면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계약직으로 일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이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금전적 보상을 빨리 받을 수 있습니다. 결국 질문자님의 우선순위와 장기적인 목표에 따라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정확하게 연세가 얼마이신지모르겠지만, 적성이 제일 중요할것같고 공무원시함에 합격을 하면 비러 직원이 생기는거지만 전기기시를 딴다거 해서 바로 안정적으로 300만원을 벌수있는 직업을 구할수 있는건 아닙니다만. 미래의 평생직장용으로는 나쁘지 않을듯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사 취득을 추천 드립니다.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후 전기안전관리자로서 일할수 있으며, 수요도 많고 노후 까지 자격증 선임을 걸고 일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공무원연금법이 정한 공무원 연금은 10년 이상 재직하는 것이 필수조건이에요.
몇년간 공무원 공부를 하여 합격한 후 근무할 수 있는 재직기간을 계산해 보는 것이 좋을듯해요.
전기기사 시험자격이 주어져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는 계약직이라도 경력이 쌓이게 되면 추후 좋은 조건들이 많아 이직도 잘되고 연봉도 높아져요.
하지만 전기 업무는 힘들고 위험하니 적성에 잘 맞는지 생각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을듯해요.
개인적으로 고령화시대에 나이 먹어서도 할 수 있는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전기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더 장기적으로 좋은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