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3.21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명칭이 언저 왜 바꿨나요?

초등학교가 처음엔 소학교-국민학교-초등학교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그런데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언제 바뀌었으며 그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1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소학교(1895년~1905년)-보통학교(1906년~1937년)-심상소학교(1938년~1940년)-국민학교(1941년~1995년)

    1996년부터 초등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국민학교는

    ‘일본 국왕의 국민이 다니는 학교’라는 뜻의 ‘황국 신민 학교’를 줄인 말입니다.

    광복 이후에도 계속 국민학교라고 불리다가 1995년 8월에 광복 50주년을 맞아 우리의 민족정신에 걸맞는 새 이름으로 바꾸기로 결정했습니다.
    그 뒤로 전국의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바꿔 부르기 시작했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처음부터 ‘초등학교’라고 불렸을까요?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2012.11.30., 황은희, 송진욱, 역사와 사회과를 연구하는 초등 교사 모임(역사초모))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원래는 소학교라는 이름이였는데 일제강점기때 일본이 황국신민의 정신을 넣기위해 국민학교라는 이름으로 바꿨던겁니다. 그 후 독립이 된후 계속 사용하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은 1995년에 일본식민지 시대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 1995년 12월에 교육법을 개정하여 초등학교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95년 12월 29일 교육법을 개정하여 1996년 3월 1일부로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국민학교라는 이름이 일본의 황국신민학교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여 변경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보통학교, 국민학교라고

    불렸으나 1996년 3월 1일부터 완전히 초등학교라고 불리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명칭은 1995년에

    폐지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1996년

    2월 29일에야 완전히 폐지된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96년 3월 1일자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 바꼈습니다.

    국민학교는 일본이 사용하던 말이라 바꾸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에 1905년에는 초등학교를 '심상소학교'로, 1941년에는 '국립학교'로 개칭하였다. 국립학교는 초등교육기관으로서 그 아래에 유치원, 유치원, 임시학교가 설립될 수 있다. 1938년 일제는 제3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국립학교의 명칭을 다시 소학교로 변경하였다. 이름 변경 이유는 주어진 웹 검색 결과에서 명확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기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가 초등학교 5학년 때..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이 개칭되었습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 자체가 일제강점기 1941년에 황국신민의 학교 라는 의미에서 국민학교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민족정기회복을 위해 1996년 초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식적으로 명칭은 1995년 폐지되었고 실질적으로는 1996년 2월 29일 완전히 폐지되었습니다.

    1995년 8월 11일 교육부는 광복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일제의 잔재를 깨끗이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국민학교의 명칭을 변경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지혜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이 초등학교로 바뀐것은 1996년 3월 1일부터입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은 광복이후부터 계속 쓰였으나 일재의 잔재 청산의 의미로 쓰지 않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주 어렸을때는 국민학교라는 이름을 가지고 다녔는데 1995년까지 사용을 하였고

    정확하게는 1996년에 초등학교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도지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95년 8월 11일 교육부는 "광복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일제의 잔재를 깨끗이 청산하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국민학교의 명칭을 변경한다"고 발표하면서 1966년 3월 1일 부터 교육법에서는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을 바꾸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 명칭이 완전히 바뀌는 것은 몇년 더 걸렸습니다. 지방소재의 학교들, 공문서양식 등은 바로 바꾸기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바뀐 것은 1953년입니다. 그 이전에는 일본 식민지 시절에는 유치원과 다섯 학년까지의 "초등소학교"가 있었으며, 그 이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에 "민학초등학교"로 개칭되었습니다. 그러나 1953년에 학제개혁으로 인해 "초등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이후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초등교육 제도의 기본 단위로 자리 잡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