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1.19

조선의 숙종 재위기간에 갑술환국이 일어난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선의 숙종 재위기간에 갑술환국이 일어난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환국의 결과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1.23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술환국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입니다. 갑술환국의 직접적인 계기는 남인의 독선적인 정국 운영과 인현왕후 복위 문제였습니다. 기사환국 이후 남인은 숙종의 지지 아래 정권을 장악하고, 인현왕후를 폐위하고 장씨를 왕후로 책봉하는 등 반대파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남인의 독선적인 정국 운영은 민심을 어지럽히고, 숙종의 불만을 사게 되었습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24.01.22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설에서는 숙종이 인현왕후를 복위하기 위해 벌였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인현왕후의 입장에서 쓰인 소설 인현왕후전과 야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승정원일기 등 정사에 기록된 사실을 순차별로 확인해 비교하면 허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숙종이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에 대한 애정 변화로 환국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 자신의 왕권 강화를 위해 특정한 원인이 없이 두 여인의 당파를 번갈아 기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술환국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일어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 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