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

우리나라는 집에 들어갈때 신을 벗고 들어가는데 왜 서양은 신을 신고 들어가나요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집안에 들어갈때는 신을 벗고 들어가는 문화를 보였는데 서양을 보면 항상 신을 신고서 집에 들어가는데 왜 이런 문화의 차이가 만들어지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구의 집은 난방을 벽난로에 주로 의존했다. 그 때문에 차가운 바닥은 카펫(carpet) 이나 러그(rug)를 깔아 냉기를 막았다. 특히 겨울에는 차가운 방바닥에서 올라오는 한기가 심해 신발을 신고 생활했다. 반면 한국은 온돌로 난방을 했기 때문에 신발을 벗고 생활했다. 발은 물론 몸 전체를 따뜻한 방바닥에 밀착시켜 체온을 유지함과 동시에 혹한의 겨울을 날 수 있었다.

      고대 유럽의 주거환경은 침실과 거실이 구분되지 않았다. 지금으로 치면 스튜디오(Studio)나 호텔 방을 떠올리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부엌은 물론 심지어 화장실까지 가벽을 사이에 두고, 한 공간에 있었다. 주거공간 구조상 애초에 침실이 따로 없었다. 전천후실내 공간에서 신발을 신고 돌아다니다가 안쪽에 배치된 침대에서 잤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북 유럽국가는 눈과 비가 자주 내려 진흙이 신발에 묻는 경우가 허다했다. 기후적 요인도 집안에서 신발을 신게 한 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러하듯 난방시설과 공간 구조가 실내에서 신발을 신는 문화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논문도 있다.

      출처: world korean [김재동칼럼] 문화 충격①, 집안에서 신발 신는 사람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도로 사정을 보면 거의 포장 도로 입니다.


      흙은 운동장이나 비포장 도로에서만 그리고 자기집 마당에서 쬐금 볼수 있죠..


      거의 흙을 달고 다닐 일이 없고


      또 미국인들은 개를 대리고 다닐때는 항상 주머니에 비닐 봉지를 가지고 다녀.


      애완동물의 배설물 ( 개, 고양이. 등.. ) 을 치우고 다니죠..


      길에서 애완 동물의 배설물을 보는는 극히 드물며.



      집에서 신발을 신고 다니거나 실내화를 이용 한다고 합니다.



      또 집 밖에서 메트리스 같이 생긴 ( 신발 흙 먼지 터는 것 ) 것에 신발의 오물을 제거하고 들어가고

      집 바닥에는 카펫을 깔아 청소를 합니다.


      우리 나라와같이 바닥에서 생활하는 일이 거의 없죠..


      참고로 이런 일이 있다고 하더군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은 입식 문화권 이고 우리나라는 좌식 문화권 입니다. 즉, 서양은 온돌 문화가 아니라 히터를 이용해서 실내 내부를 따뜻하게 만들게 하기에 바닥에 앉지 않고 의자나 소파나 침대를 이용하기에 신발을 신고 방안에 들어 갈수 있는 것 입니다.

    • 신발을 벗고 집에 들어가는 문화와 신발을 신고 집에 들어가는 문화는 각 지역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발전하였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오래 전부터 실내와 실외를 철저히 구분하는 문화가 있었습니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이유 중 하나는 실내를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이 지역에서는 온돌이라는 난방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 때문에 바닥에 앉아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서 신발을 벗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반면에 서양 국가들, 특히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는 신발을 신고 집에 들어가는 문화가 주를 이룹니다. 서양의 전통적인 집 구조는 바닥에 앉아 생활하기 보다는 의자나 소파 등 가구에 앉아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신발을 신은 채로 집안을 이동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과거 유럽의 기후 조건이나 생활 환경, 집의 구조 등을 고려할 때 신발을 신고 있는 것이 보온에 도움이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크게 일반화된 설명으로, 실제로는 각 국가와 지역, 개인의 선호나 가정의 규칙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실내에서는 신발을 벗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청결을 유지하려는 측면에서나, 편안함을 위해 신발을 벗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