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알뜰한토끼288
알뜰한토끼28823.03.11

미국 은행부도가 리먼급 사태를 다시 일으킬수도 있을까요?

이번에 부도난 은행이 생각보다 시가총액이 높던데 이번 부도사태가 생각보다 상황이 심각해질수도 있나요? 하락세가 갑자기 상당해서 걱정이 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융기관 등이 파산을 함에 따라서

    이것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면 리먼급 사태가

    다시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파산이 발생한 실리콘밸리은행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거래계좌들이 벤처기업들의 계좌로서 현재 파산의 주된 원인은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인데, 해당 은행에 대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서 미국 당국이 이례적으로 즉각적인 파산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다만 현재 SVB의 자산과 예금현황은 채권을 팔게 된다면 모두 지급가능한 범위 안에 있어서 큰 여파가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과거 리만브라드스 규모의 1/3정도의 자산 규모로서 규모 자체는 크나 과거 2008년도 금융위기는 전 금융권이 '서브프라임모기지 상품'으로 인해서 동시다발적으로 피해를 입었던 반면에 지금의 은행 부도는 대규모 금융권이 엮여있는 투자상품의 실패로 인해서는 아니다 보니 리만과는 비교하기 힘들며 피해 또한 극히 제한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의 은행 부도는 매년 4~5개정도씩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15년간 500여개의 은행이 파산을 했습니다. 그렇기에 지금 이슈가 된 이유는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마치 은행이 파산하고 있다는 경각심을 연준에게 줘서 연준의 금리인상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은행의 규모가 크긴 하지만 리먼급 은행의 규모는 아니기 때문에 당시처럼 금융위기가 찾아올 급은 아닙니다.

    • 하지만 이번 은행의 부도로 인해 금융시스템에 점검이 있을 것이고 추가적으로 문제가 발견되어 꼬리에 꼬리를 무는

      문제의 시작이라면 다시 금융위기가 찾아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