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모던한꽃무지32
모던한꽃무지32

아이 수면교육 방법에 대해서 질의 드립니다.

아이가 성인처럼 평균 12시에 잠을 자요 물론 한번 자면 다음날 7~8시까지 자서 문제는 없지만 다른아이는 보통 9시이전에 자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바꿀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의 수면교육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일정한 수면패턴을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생활습관을 바꾸는게 필요합니다.

    잠을 자기 위한 수면 의식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아이들의 수면은 다음날의 생활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만큼 양육자가 적절하게 개입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수면은 아이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너무 늦은 시간에 잠을 자게 되면 키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아이가 밤늦게 까지 안자려고 하는데는 . 낮에 낮잠을 많이 잤거나 너무 늦게 낮잠을 잤거나, 놀고싶어서,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수 있습니다. 따라서아이가 잠을 일찍 자게 하기위해서는아이의 낮잠자는 시간을 줄이거나 낮에 활동량을 늘려 에너지를 발산할수 있는 시간을 좀더 가질수 있게 해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잘수 있도록 수면습관을 가지는것이 중요하며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 아이가 편안하고 깊은 숙면에 들게 하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아이 수면 교육은 노력이 필요 합니다

    아이에게 잠자리에 들 시간이 다가 왔음을 알ㅇ려주는 안락한 안락한 잠자리 준비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따뜻한 목욕,책읽기,부드러운 음악 등 수면 의식을 만들어 보세요

    쉬닥법

    아기를 눕힌채 백색소음 쉬~소리를 내며 토닥여 주고 스스로 잠들수 있게 도와 주는 방법 입니다

    일관성 있게 수행 하면 아이가 빨리 잠들수 있습니다

  • 아이가 일어나는데 힘들어하진 않나요? 성장은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요? 힘들어하지 않고 잘 성장하고 있다면 크게 문제가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성장호르몬이 밤 10~새벽2시 사이에 활발하게 나온다고 합니다. 아이의 성장을 위해서 시간을 조금 당겨보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바깥활동을 많이하고 돌아오면 아이들은 일찍 잠이 들지요. 바깥활동을 자주 나가보는 것이 어떨까요

  •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지만요.

    아이의 성격과 성향 그리고 집안 분위기에 따라 아이들의 취침시간도 바뀌는거 같아요.

    사람마다 아침형인간과 새벽형 인간으로 나뉘죠.

    아이가 어리다면 일찍 잘 수 있는 집안 분위기를 만들어 보면 좋겠네요.

    저녁엔 편안한 분위기와 심리적 안정에 좋은 음악, 그리고 가족들도 일찍자기 등

    모두 함께 할 수 있었으면 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정확히 몇 살인지 알면 더 자세한 조언을 해 드 텐데 그 점이 조금 아쉽긴 합니다. 일단 아이가 잠을 잘 때 가장 중요하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건 집안의 어른들이 즉 부모님들이 잠을 언제 주무시느냐 혹은 잠을 잘 수 있는 집안의 수면 분위기가 조성이 되어 있느냐 여부가 굉장히 핵심입니다. 일단 아이가 잠을 자기를 원하는 그 시간대가 가까워오면 집안에 조명을 평소보다 많이 어둡게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사람은생활하는곳의 조명의 밝기에 따라서 잠을 자고 깨어서 활동을 하고 하는 일련의 모든것들이 결정이 됩니다. 실제로 부모님들께서 잠을 주무시지 않더라도 잠을 잘 듯한 분위기를 연출해주셔야 아이 입장에서도 '아이제 잠을 자야되겠구나'라는 생각을 본능적으로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잠을 자는 시간을 앞당기면서 습관화까지되는데에는 최소 2-3주 정도는 걸린다고 하니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훈련을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패턴을 바꾸려면 긴시간이 걸리죠. 어떤일이있어도 9시 이전에 재우겠다 생각이 되시면 저녁시간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식사시간은 언제부터해야할지, 씻는것, 잠잘 준비 등 언제쯤 해야할지를 시간대별로 생각해보시고 아이와 그 루틴을 지키려고 노력해보신다면 어느순간 일찍 잘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낮동안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아이의 수면 시간을 일정한 패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즉, 자고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한 시간으로 맞춰주도록 하세요.

    잠을 자는 시간은 9시에 자도록 해주세요.

    또한 성장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시간이 밤 10시 부터 새벽 2시 사이 이오니 질 좋은 수면으로 잠을 잘 잘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