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8.21

우리나라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이 된 계기가 무엇일까요?

예전에 우리나라는 한 지붕아래

할아버지 할머니 엄마 아빠 그리고

아이들까지 함께 모여서 살았는데

언제부턴가 따로 살기 시작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늘날 핵가족 증가 이유

    1. 취직을 하러, 부모님 곁을 떠나는 결혼하거나 성인이 된 자녀 때문에

    2.자녀의 교육문제 때문에

    3. 일자리를 찾으러 사람들이 도시로 떠나가기 때문에

    4.부모님이 시골 생활에 익숙하기 때문에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촌 경제 에서는 대가족이 가능 했지만 산업이 발달하게 되면서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가는 가족들이 늘어났고 이러한 이유로 핵가족이 점차 많아진 것 입니다. 대가족과 비교해 핵가족은 가정 내에서 부모가 아이들에게 교육해야 할 내용의 양적인 측면이 더욱 증가하였는데 이에 반해 고학력화, 사회적 활동 증가, 남녀평등으로 인한 여성들의 사회 참여가 많아지면서 가족 기능의 변화가 생겼고, 맞벌이 가정이 많아짐에 따라 자연스레 아동과 함께 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가족제도에서 부부와 그들의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인 핵가족으로 전환된 것은 1970년대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영향이 컸습니다. 도시에 일자리가 많아지면서 도시집중현상이 나타나고 도시생활에 적응한 젊은이들은 도시에 정착하게 되고 가정을 꾸리게 되면서 핵가족화현상이 가속화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업화가 되고 도시화가 증가하면서 핵가족이 보편화되었고 출산율이 감소하며 현재의 부모+독신 자녀 1~2명 체제가 굳어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