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취득세·등록세 이미지
취득세·등록세세금·세무
취득세·등록세 이미지
취득세·등록세세금·세무
성실한사자9
성실한사자922.11.03

2022년 증여세는 개별주택의 경우 공시지가로 계산하나요?

부모가 성인자녀에게 지방의 개별주택을 증여할 경우 증여세 계산시 개별주택의 과세표준 계산시 공시지가로 하는지 시세 혹은 감정가로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영민 세무사입니다.

    증여재산은 증여일 현재의 시가로 평가하는 것이 원칙이나, 단독주택같은 경우 시가로 인정할 수 있는 동일한 주택이 없기 때문에 공시가격으로 증여재산가액을 산정합니다. 만일 감정평가를 받는다면 공시가격보다 선순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감정평가액을 시가로 증여세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증여재산의 평가는 시가평가가 원칙입니다. 시가평가가 어려운 경우에만 보충적 평가액(기준시가)으로 할 수 있습니다.

    개별주택은 아파트처럼 유사매매사례가액 등 시가를 산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고시된 개별주택가격으로 증여 신고 가능합니다.

    다만, 세무서에서 시가와 신고된 개별주택가격과의 차이가 크다고 판단한다면 자체 감정평가하여 경정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가산세는 없지만, 증여액이 늘어나기 때문에 증여세가 추가로 발생하며, 감정평가를 우리가 컨트롤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신고 시 아예 감정평가를 우리가 받아서 신고하시는 방법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진석 세무사입니다.

    증여일 전 6개월 ~ 증여일 후 3개월(증여일 후 3개월 이내신고시 신고일) 까지 다음중 하나의 가액이 있으면 그 가액으로 합니다.

    (1) 해당 재산의 매매가액

    (2) 해당 재산의 감정가액

    (3) 해당 재산의 수용/경매/공매가액

    (4) 유사한 재산의 매매사례가액

    다만 단독주택의 경우로써 해당 재산의 (1)~(3)의 가액이 없는 경우에는 개별주택가격으로 증여재산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방 단독주택의 경우 개별주택가격으로 신고하시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해당 주택이 재개발 등의 사유로 개별주택가격과 실제 시가와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세무서에서 직접 감정평가를 받아 해당 가액을 증여재산가액으로 볼 수 있다는 점 주의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진 세무사입니다.

    증여세 계산시 재산의 평가는 시가로 하는것이 원칙이고 비슷한 주택의 매매사례가가 있는경우 그 금액으로 합니다.

    진짜 매매사례가가등 시가에 해당하는 금액이 없으면 기준시가인 개별주택가격으로 하실수있습니다.

    또한 공시가액과 시가의 차액이 너무 큰 경우에는 감정을 받아서 하시는것이 조사 시 문제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시가가 없을 경우, 공시가격으로 신고하셔도 무방합니다.

    개별주택의 경우, 사실상 시가로 볼 수 있는 유사매매사례가액이 없기 때문에 감정을 받지 않는다면 공시가격으로 신고해도 무방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입니다.

    지방 소대재단독주택을 성년 자녀에게 증여시 증여재산거액은 원칙적으로 시가(=특수관계없는 제3저간에 거래할 수 있는 매매가격)로 평가해야 하나, 시가가 없거나 불분명한 경우 증여일 현재 고시된 개별주택가격으로 평가하여 증여세 신고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단독주택에 대한 근저당 채무 및 금융회사 채무 등의 합계액, 보증금 + (1년간 월세의 10배), 전세권 설정액 등이 개별주택가격보다 더 큰 경우에 이 금액으호 평가하여 증여세 신고 납부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증여재산 평가는 시가가 원칙입니다. 다만 증여시 해당 재산의 시가는 일반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에 유사매매사려가액, 감정가액 등 시가에 준하는 가격으로 평가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