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의 현실과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가 도입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학제와 고교학점의 현실이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고교학점제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하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역과 학교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여 준비가 부족하고 제제적 한계로 초기 교사, 학생, 학부모의 혼란과 부담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에 맞게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일정학점(현재 총192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졸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하고 싶은 분야를 더 깊게 배울수 있고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습관이 길러지게 되며 무조건 같은 과목으로 경쟁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수준별, 진로별 수업이 운영과 맞춤형 진로 교육을 강화하고 있어 자기주도 학습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진로가 명확하지 않는 학생에게 선택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목 개설의 한계가 있어 교사 업무가 과중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성취도 40% 미만이면 졸업 학점 인정이 안되어 학생의 부담이 증가하고 교육격차가 심화되어 사교육 의존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올해 전국 모든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단순 암기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성과 미래 사외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학생들이 스스로 배우고 선택하고 경험하기 위한 정책이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025년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과목을 선택해 이수 학점으로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현실적으로는 교사,교실 부족, 학교 간 과목 선택 격차 문제가 있습니다. 장점은 진로 맞춤형 학습, 학습 동기 향상이고, 단점은 학교 간 불평등, 관리 어려움, 기초학력 격차 심화 우려가 있다는 점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원하는 교과목을 선택하고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의 장점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는 선택권이 크지 않으며, 학생과 학교의 부담이 커진다는 점, 학교마다 개설 과목 등의 유불리가 있다는 점에서 단점이 존재합니다.
고교학점제의 현실과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고교학점제는 기존의 학년제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대학처럼 수강신청을 통해 시간표를 구성하고 학점을 쌓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은 진로 맞춤형 교육 실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교육의 다양성과 창의성 증진, 경쟁 완화, 학교 문화 혁신 등입니다.
단점은 교육 불평등 심화 가능성, 교사 업무 부담 증가, 학생의 자기 관리 역량 부족, 대입 제도와의 연계 불확실성, 과목 선택 편중 현상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