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살 거짓말이 늘어나는 막내 아이 어떻게 훈육하면 좋을까요?
살살 거짓말이 늘어나고 있는 아이가 저희 집 막내로 초등학교 5학년입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한번 날 잡아서 따끔하게 야단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흔히 아이들이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단순하게도 혼나지 않기 위함입니다.
'혼 안낼테니까 사실대로 말해봐' 이렇게 말해도 크게 달사지지 않을겁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민주적인 양육태도로 아이와 관계 형성을 우선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평소 아이의 행동이나 말을 공감해준다면 아이는 잘못했을 때에도 사실대로 말하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말을 관찰한 사실대로 이야기하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고 '다음부터는 잘못하거나 실수를 해도 사실대로 말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며 마무리합니다. 대신 화난 어투가 아닌 차분하게 이야기하는게 중요합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순간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서나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서 자기 방어차원에서 거짓말을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거짓말을 할때 알고도 넘어간다면 아이는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아무렇지도 않은듯 할수 있으며 잘못된 행동임을 인지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일수 있습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한다면 아이와의 진솔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통해 거짓말을 왜 하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어떤 상황에서든 거짓말을 하면 안된다는 것을 가르쳐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또한 거짓말로 상황을 회피하지 말고 솔직하게 감정표현을 할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성장해가면서 실수하는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거짓말의 빈도가 늘어나는 부분에서는 부모와의 신뢰가 깨질 수 있으므로 꼭 고쳐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두번 정도 대화를 통해 해결해보고, 그래도 잘되지 않는다면 따끔하게 훈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다면 그 즉시 잘못을 바로 잡아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것 같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거짓말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거짓말을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해주도록 하세요.
아이와 함께 동화 피노키오와 양치기소년을 함께 보면서 거짓말이 왜 좋지 않은지 그 이유를 함께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거짓말을 하는 행동은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자신에 좋았던 이미지와 신의 및 신뢰감을 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것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나이가 들면서 부모님에게 혼나는것을 무서워 하고 피하는 방법을 터득하기 시작합니다. 이게 거짓말을 시작하는 원인이라고 보셔야 되겠습니다. 어릴때 하는 거짓말의 경우에는 티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판단이 되신다면 처음부터 혼을 내지 마시고 조금씩 돌려가면서 아이의 심리상태를 파악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거짓말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파악이 되면 그때 아이를 훈육을 하든 교육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날잡아서라기보다 거짓말을 다 알고 있다는 인상을 확실히 주실필요가 있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거짓말을 했을때 더욱 강한 훈육이 필요하고, 바르게 솔직히 얘기했을 때 오히려 다시 기회도 주고 타일러가며 훈육하면서 굳이 거짓말을 하려하지 않게 만드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먼저 아이가 현재 느끼고 있는 감정들을 이해하고 공감해주시면서, 왜 거짓말을 하게되었는지 에 대해서 이유를 파악하려 노력하셔야 합니다. 아이에게 이유를 명확하게 물어봅니다. 또한 한편으로는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네가 혼날까 봐 걱정이 됐구나. 그럴 때 나도 무서울 것 같아"이런식으로 공감하며 말해주세요. 연장선상에서 차분한 대화 태도를 유지해주세요. 아이가 거짓말을 했다고 해서 화를 내거나 벌을 주기보다는 차분하게 대화를 시도합니다. "우리가 지금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사실 확인 상황에 대한 사실을 차분히 확인하고, 아이가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이러한 진솔한 대화속에서 거짓말을 하면안되는 이유에 대해 조언해주시고 앞으로 거짓말을 안하도록 노력해보자는 약속도 함께 해보시는겁니다.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 아이가 거짓말을 늘리는 상황은 부모들에게 익숙한 고민중 하나 입니다 아이들이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다양 하며 그들의 성장 단계와 욕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거짓말 자체에 중심을 두지 말고 왜 그렇게 거짓말을 하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세요
자녀의 감정과 이유를 이해하고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 를 조성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필요에 의해 거짓말을 잘 합니다
진실만 이야기 하는 아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랑 말하기 싫어 할 때도 거짓말을 합니다
훈육을 하기 전에 이 아이가 왜 거짓말을 할까 잘 살펴 보시고
불편한 점이나 불안한 요소가 없는지 잘 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 막내 아이가 거짓말을 하기 시작하면, 한 번에 따끔하게 야단치기보다는 지속적이고 일관된 훈육이 효과적입니다. 먼저 아이와 진지하게 대화하여 거짓말의 나쁜 점과 진실의 중요성을 설명하세요.
아이가 거짓말을 하지 않도록 솔직함을 칭찬하고 긍정적 강화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또한,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명확하고 일관된 규칙과 결과를 설정하여 거짓말의 빈도를 줄이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