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25.03.17

미국이 관세를 올리면 우리나라가 어떤 악영향을 받나요?

경제를 잘 몰라 여쭈어봅니다.

뉴스에서 트럼프의 관세정책때문에 여러나라들이 골치아프다고하던데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우리나라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2차 전지, 전자제품 등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는 이러한 산업들이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이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에서 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액은 연간 약 55억 달러에서 최대 93억 달러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은 일본과 유럽산 제품과의 관세 차이가 크지 않아 경쟁 우위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은 멕시코에 진출하여 무관세 혜택을 활용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이러한 전략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번 조치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이 심화되면, 우리나라의 반도체 등 대중국 중간재 수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환경의 악화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게 되면 우리나라와 같은 수출 주도형 국가들은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 미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상당히 높아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경쟁력이 악화되고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상당할 수 있습니다.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이미 부과되었고 상호관세 부과등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보복조치보다는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추거나 면제받는 형태로 가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일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로, 미국은 전체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큰 시장입니다. 트럼프가 2025년 3월 기준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며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는데, 한국산 제품(특히 반도체, 자동차, 철강)에 대한 관세도 높아질 경우 수출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경우 관세로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 국내 소비자 물가도 영향을 받아 가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경기침체는 이미 내수 부진과 인건비 상승을 호소하는 기업(약 60%)이 많은 상황에서 한국에는 경제 성장률이 하락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우리나라에 여러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을 벌이면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경우, 한국 기업들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에 대한 관세가 상승하면, 비용이 증가해 한국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일부 산업은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보편 관세 상호관세 , 알루미늄과 철강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로 우리나라에서도 수출 물품에 대한 원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내 생산을 조건으로 하는 정책이나 과세 비부과등의 조건에 따라 미국내 생산으로 그 무게가 옮겨 가게 될 수 있어 우리나라 제조업의 공백과 같은 우려를 생긴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