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관세를 올리면 우리나라가 어떤 악영향을 받나요?
경제를 잘 몰라 여쭈어봅니다.
뉴스에서 트럼프의 관세정책때문에 여러나라들이 골치아프다고하던데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우리나라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2차 전지, 전자제품 등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는 이러한 산업들이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이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에서 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액은 연간 약 55억 달러에서 최대 93억 달러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은 일본과 유럽산 제품과의 관세 차이가 크지 않아 경쟁 우위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은 멕시코에 진출하여 무관세 혜택을 활용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이러한 전략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번 조치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이 심화되면, 우리나라의 반도체 등 대중국 중간재 수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환경의 악화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게 되면 우리나라와 같은 수출 주도형 국가들은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 미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상당히 높아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경쟁력이 악화되고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상당할 수 있습니다.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이미 부과되었고 상호관세 부과등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보복조치보다는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추거나 면제받는 형태로 가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일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로, 미국은 전체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큰 시장입니다. 트럼프가 2025년 3월 기준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며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는데, 한국산 제품(특히 반도체, 자동차, 철강)에 대한 관세도 높아질 경우 수출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경우 관세로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 국내 소비자 물가도 영향을 받아 가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경기침체는 이미 내수 부진과 인건비 상승을 호소하는 기업(약 60%)이 많은 상황에서 한국에는 경제 성장률이 하락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우리나라에 여러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을 벌이면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경우, 한국 기업들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에 대한 관세가 상승하면, 비용이 증가해 한국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일부 산업은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보편 관세 상호관세 , 알루미늄과 철강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로 우리나라에서도 수출 물품에 대한 원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내 생산을 조건으로 하는 정책이나 과세 비부과등의 조건에 따라 미국내 생산으로 그 무게가 옮겨 가게 될 수 있어 우리나라 제조업의 공백과 같은 우려를 생긴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