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광종은 왜 과거제를 도입했나요?
고려시대 광종 대 과거제를 처음 도입했다고 들었습니다. 그 이전 인재등용과 관련해 어떤 차이가 있길래 과거제를 도입한 것일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과거제도의 시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과거제도가 처음으로 채택된 것은 고려 4대 왕인 광종 9년(958) 때로, 후주인으로서, 고려에 귀화한 한림학사 쌍기의 건의에 의해서 시행되었다.
② 한림학사 쌍기는 과거제의 제정과 과거의 실질적인 시행을 주재하여, 초기에 자신이 직접 과거의 지공거(지금의 시험관)가 되었으며, 한국 최초의 지공거(상학사)가 되었다.
③ 쌍기의 건의로 받아들여진 과거제도는 중국식의 과거제로서, 단순한 중국식의 모방만은 아니었으며, 국초의 중앙 집권에 수반된 호족, 개국공신의합리적인 태도와 제거를 위하고 문호 개방을 통한 광범위한 인재 선발로 새로운 중앙 귀족의 편입이라는 국가, 사회의 필연성에 결부되어 나타난 현상이었다.
④ 내용을 정비하여 인종 14년(1136)에 일종의 과거시행법인 과거절목이 제정됨으로써 그 완비를 보게 되었다.
과거제도의 시행 목적은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왕권의 확립 및 정치, 사회적인 안정을 기하는 데 있었습니다.출처: 연일정씨홈페이지 www.yuniljung.com 고려시대 과거제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과거제도를 도입합니다.
958년 처음 과거제도를 실시하여 신분이나 집안에 관계없이 실력에 따라 관리를 뽑도록했습니다.
신분의 굴레가 가벼워 지니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관리가 된 사람들이 광종의 뜻에 따르는 충직한 신하가 될것을 예견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후삼국 통일 후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하던 중에 광종이 호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과거제를 처음 실시하였다(958년)고 합니다. 당시 광종은 후주에서 귀화한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도입했는데, 후주에서는 세종이 군주권 강화를 위해 과거제를 실시한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과거 제도는 직접 왕이 자기가 마음에 드는 신하를 뽑아서 쓸수 있기에 자신의 명령에 복종하는 자를 중요한 자리에 등용해서 왕권 강화를 도모 할수 있었지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광종이 과거제도를 도입한 이유는 시험을 통해 학문적 소양을 쌓은 관료를 선발함으로써 공신 세력을 제압하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수나라 때부터 시행되었고 고려에서는 958년 광종 9년 쌍기의 권유로 과거제도가 시작 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제는 고려시대 이전의 인재 등용 방식과 차이가 있었습니다.
과거제는 선비 계열 출신이 아닌 민간 출신의 인재를 공정하게 인사하려는 목적에서 도입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선비 계열 출신들이 공신이나 관료로서 지위와 권력을 쟁취하였으며, 일반 군민 출신이라 할지라도 권력을 잡게 되면 자기와 동일한 출신의 사람들을 추천하여 발전시키는 등의 부패한 관행이 있었습니다.
과거제는 이러한 부패한 인사 제도를 개선하고자, 민간 출신의 인재를 추천받아 공정하게 선발하여 공무원으로 임명하는 제도였습니다. 이를 통해 선비 계열 출신들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민생을 바탕으로한 공정한 인사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과거제는 임용을 받은 공무원들에게 직무 수행 중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책임을 묻는 체제도 도입되어, 권력의 남용과 부패를 예방하는 역할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제도가 도입되면서 권력의 과도한 집중과 부패가 방지되었으며, 인재의 평등한 기회가 보장됨으로써 조선시대에도 이어지는 공정한 인사제도의 발전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려 광종은 958년에 과거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는 대신들의 선발 및 관리를 통해 공직 임명 체계를 개선하고, 고위 관료층의 부패와 불법적인 입권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였습니다. 이를 통해 고려 시대의 중앙정부에서는 왕권을 강화하고, 불법적인 입권이나 청와대 부패 등을 일정 수준까지는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과거제의 도입은 문벌가와 대신들의 권력 확장을 막으며, 국가적인 이익을 위한 정치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과거제를 하면 출신 지역 상관 없이 골고루 랜덤으로 신하를 뽑을 수 있고 과거가 없으면 한쪽 파로 치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