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약한담비
약한담비

초등학교 여학생이 친구 그룹에서 소외감을 느낄 때, 부모는 어떤 조치를 취하여 그녀의 자존감과 사회적 통합을 지원할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여학생이 친구 그룹에서 소외감을 느낄 때, 부모는 어떤 조치를 취하여 그녀의 자존감과 사회적 통합을 지원할 수 있을까요? 소외감을 그룹에서 느끼고 있어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는 초등학교 여학생이 소외감을 느낄 때, 관심과 감정을 경청하며 지원해줘야 합니다. 긍정적인 자기 이야기를 통해 자존감을 높이고, 새로운 친구를 사귈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그룹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친구들과의 긍정적인 경험을 쌓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구의 그룹에서 소외가 되는 이유는

    첫째는 고집이 세서 입니다.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자기주장 이라면 올바르겠지만 흔히 말하는 옹고집을 부린다면 친구들이 싫어할 수 있습니다.

    둘째는 감정이입 및 감정공감을 하지 못해서 입니다. 즉, 자기생각만 옳고, 친구의 생각을 그르다 라고 생각하거나 친구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지 않고 독단적인 행동이 친구들과 마찰을 일으켜서 입니다.

    셋째는 아이의 기질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극적이고, 낯가람이 심하고, 조용한 성격이고,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성향이 강하다면 친구와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환경과 사람에게 익숙해 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하는데요.

    그렇다고 마냥 환경과 사람에게 익숙해지길 기다린다면 사람들과 소통함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이와 역할극을 통해서 친구에게 다가가는 방법, 그 상황에 맞는 행동과 언어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서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친구를 배려,존중, 마음이해, 감정공감을 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상황이나 맥락이 있어야 구체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이 나올 것 같아요. 점점 아이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친구 관계에 개입하는 건 어려움이 있습니다. 소외감을 느낀다면 다른 친구와 놀아보거나, 아니면 혹시 그 사이에서 갈등이나 싸움 등이 있었다면 이야기를 나눠보는 게 방법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친구들 사이에서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공통사가 없으면 더욱 더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은 자기 자신의 성향에 비슷 한 친구를 만날 수 있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개임을 하면 더욱 더 악화가 될 수 있기에 아이와 상담을 해서 적당한 조언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직접적으로 행동을 하신다면 아이들의 반감을 살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들은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모두 함께 놀아라 이야기 해도 함께 놀지는 않습니다

    무리를 만들어 자기 무리와 어울리는 아이들만 함께 놀아요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할 수 있습니다

    친구가 없는 아이들은 다른 친구와 어울리기에는 성격이 맞지 않는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친구가 없다면

    비슷한 성격을 가진 아이와 어울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내성적인 아이들은 자기 표현이 조금 못 하다 보니 친구가 다가와 줄 때 까지 기다리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친구들이 다가 오지 않으면 친구에게 함께 놀자고 먼저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단 아이가 감정적으로 상처를 받았을 수 있기 때문에 감정적,정서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게먼저 달래주시고 다독여주는게 필요합니다. 그리고 친구는 어떻게 하면 사귈 수 있는지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시고 직접 방법을 조언해주시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