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동통염증으로 약을 처방 받았는데요
열흘 전부터 허리가 갑자기 아파서 병원을 갔는데,
엑스레이를 찍어보니 근막동통 염증이라고 하시네요
약을 처방받았는데 약 중 부종이 올만한 약이 있을까요?
그리고, 저 질환은 완치까지 대략 얼마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근막동통증후군 약에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나 근육 이완제가 포함되고 일부 약물은 드물게 부종이나 위장장애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수일~수주 내 호전되고 스트레칭 자세교정이 병행돼야 재발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지속적 통증이 4주 이상 이어지면 도수치료나 주사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환자의 상태에따라서 치료기간은달라질수있는데요 보통은 3~8주정도의 시간이소요될수있고 이는 환자마다 개인차가생길수있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약물 부작용은 개인차이가 있습니다.
알레르기가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드셔도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근막통증 증후군은 용어는 그럴 듯하지만 다른 말로 "담" 혹은 "근육이 뭉쳤다"와
크게 다르지 않은 말입니다. 그에 준해서 치료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처방받으신 약재 중 1,3번째 약물이 드물게 부종이 발생할 수 있고, 2번째 약은 알러지가 있는 경우 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정확한 소견은 주치의나 약사에게 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근막동통은 약 2-4주 내로 호전할 수 있으나, 약이나 치료뿐만 아니라 바른자세 유지 및 스트레칭을 지속하시는 것이 호전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같은 경우엔 흔치는않지만 신장에 무리가 되면서 부종을 일으킬 순 있습니다.
만약 약물치료 후 부종이 심해진다면 담당의에게 내용 전달 후 다른 대체 약을 처방 받으시길 바랍니다.
현재 정확히 어떤 증상인지는 확인을 하기 어렵지만 근막동통염 같은 경우엔 충분한 치료(주사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가 필요하며 관리가 필요합니다.
당분간은 무리하게 움직이거나 해당 부위에 자극을 주는것은 피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꾸준한 치료를 하면서 정기적으로 검사를 통해 회복 상태를 확인 후 상태에 따른 전문의와 치료 계획에 대해서 상담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약물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하면 "아하 - 약물 토픽"에서 한번 더 약사님들께 질문해보시길 바랍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건강히 회복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