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차사라는말은 왜 생겨나게 되었나요?
태조 이성계가 아들 이방원이 동생들도 죽이고 결국 태종왕위에 오르자 태조 이성계는 함흥으로 가버렸다는데 이거하고 힘흥차사하고 어떤 관계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흔히 심부름꾼이 가서 소식이 없거나 또는 회답이 더딜 때의 비유입니다.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야담집인 축수편에 전하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1398년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에 울분하여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야담(野談)집인 『축수편(逐睡篇)』에 전하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1398년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亂)에 울분하여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다. 형제들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한 태종 이방원은 아버지로부터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아버지를 도성으로 모셔오려고 함흥으로 여러 번 사신을 보냈으나 이성계가 그 사신들을 죽이거나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이로부터 한번 가면 깜깜무소식인 사람을 가리켜 함흥차사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 역사 기록에는 함흥으로 보낸 차사 중에 희생된 것은 박순(朴淳)과 송유(松琉) 둘뿐이고 이들도 이성계가 죽인 것이 아니라 조사의가 이끄는 반란군에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
비슷한 말로 일무소식(一無消息), 종무소식(終無消息) 등의 성어가 있다.
출처 :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3대왕인 태종 이방원이 태조의 환궁을 권유하려고 함흥으로 보낸 차사를 일컫는 말입니다. 그러나 차사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세간에 퍼지면서, 한 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다는 뜻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는 태종 이방원이 저지른 왕자의난과 그것을 오랫동안 용서하지 않았던 태조 이성계를 바라보던 백성들이 만들어낸 이야기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요약 조선 초 태조 이성계를 모시러 함흥에 갔다 돌아오지 않은 사신을 가리키는 말로, 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또는 회답이 좀처럼 오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咸 : 다 함
興 : 일어날 흥
差 : 어긋날 차
使 : 부릴 사
조선후기에 지어진 야담(野談)집인 『축수편(逐睡篇)』에 전하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1398년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亂)에 울분하여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습니다.형제들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한 태종 이방원은 아버지로부터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아버지를 도성으로 모셔오려고 함흥으로 여러 번 사신을 보냈으나 이성계가 그 사신들을 죽이거나 잡아 가두어 돌려보내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한번 가면 깜깜무소식인 사람을 가리켜 함흥차사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함흥차사는 조선 태종 이방원이 태조의 환궁을 권유하려 함흥으로 보낸 차사를 일컫는 말로 차사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세간에 퍼지며 한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다는 뜻으로 바뀌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이방원을 왕으로 인정해주지 않고 함흥으로 가버렸는데
이방원이 이성계를 모셔오기 위해서 함흥으로 차사라는 관리들을 보냈습니다
근데 화가난 이성계는 함흥으로 오는 차사들을 오는 족족 죽여버렸기 때문에
함흥으로 간 차사들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함흥차사라는 사자성어가 생겼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