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

헌 옷을 요즘 버리면 해외 다른 나라에 판다고 하는데 어느 나라에 수출되는 지 궁금합니다

헌 옷을 요즘 버리면 해외 다른 나라에 판다고 하는데 어느 나라에 수출되는 지 궁금합니다

어느나라에 팔리는 지 궁금합니다. 신발도 팔린다고 하는데 그것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통상적으로 한국에서 수출되는 의류들은 동남아나 아프리카 쪽 개발도상국들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신발의 경우도 동일하게 헌옷들처럼 이러한 국가들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정확한 통계를 집계하기는 어렵습니다만, 98년도 기준 약 75만불, 99년도 기준 약 120만불로 현재는 상당한 규모로 수출이 진행되고 있는 듯 합니다.

    이렇게 수출되는 의류들도 있지만 구멍이 나거나 혹은 오물이 묻은 의류의 경우에는 수출이 어렵기 때문에 폐기처리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질문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헌 옷이나 헌 신발의 경우 HS CODE 6309.00-0000 호로 분류되며,

    올해 수출 통계를 보면 말레이시아, 인도, 필리핀, 태국 등 개발도상국으로 수출이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 출처 :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 >

    수출입 무역통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사용하던 의류나 신발류의 HS CODE는 HSK 제6309.00-0000호에 분류되는데, 동 HS CODE에 대한 수출통계를 살펴보니 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나 인도, 아프리카 등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2022년 10월 누계기준 수출금액 상위 20개 국가 첨부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관련된 무역통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한국무역협회 K-STAT 첨부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stat.kita.net/ (국내통계 > 품목 수출입)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한국은 미국·중국·영국·독일 다음으로 세계 중고 의류 수출 5위 국가로 상당 수 많은 양의 중고 의류(헌 옷, 신발 등)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중고 의류나 신발의 주요 수입국은 우크라이나, 파키스탄 가나, 케냐,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주로 아프리카나 개발도상국입니다.

    헌 옷 수출은 한국의 의류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개인사업자가 영리 목적으로 설치한 의류 수거함을 통해 헌 옷을 모으고 이 중에서 상태가 괜찮은 제품은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수거업체가 직접 세탁·수선·개조 작업 등을 거쳐 수출하고 있습니다.

    해당 국가에서는 중고의류를 수입해 판매하면 수입국 국민들이 필요한 옷을 저렴하게 살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수입국의 의류산업이 자생하는 데 위협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동아프리아공동체(EAC) 회원국은 자국 의류산업 보호를 위해 중고의류 수입을 금지하기도 했습니다.  추가적인 문제로 이들 나라에서도 처리하지 못 한 나머지 중고 의류들은 사실상 쓰레기로 취급돼 수로, 강기슭, 해변 등에 버려지며 버려진 옷들은 하나 둘 모여 쓰레기 산을 이루고, 악취와 유독한 화학 성분 때문에 바다와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곤 합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중고의류의 경우 HS CODE 제6309.00호에 분류되며 우리나라에서 해당 HS CODE를 통해 수출이 많이 이루어지는 국가는 2021년 중량기준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캄보디아 순입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 에서 국가별 품목별 통계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



    다만 중고의류에 대한 수입이 불가능한 국가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베트남이 그런데, 베트남의 경우 중고의류(헌옷)에 대한 수입이 불가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90&CONTENTS_NO=1&bbsSn=244&pNttSn=15231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