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심심한도마뱀164
심심한도마뱀164
22.11.22

옛날 우물은 어떻게 물이 모였나요?

옛날에는 상하수 시설이 없어서 냇가에서 물을 길어 오거나 우물에 모인 물을 길어서 사용하곤 했다던데요. 우물안에는 어떻게 물이 모여있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너그러운코뿔소140
    너그러운코뿔소140
    23.02.16

    안녕하세요. 너그러운코뿔소140입니다.

    땅 밑에는 지하수 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지하수라고 다 땅만 파면 나오는 것이 아니고

    지형에 따라 흐르는 길이 있으니 그 길목을 파면 물이 고이면서 우물이 생기는 겁니다

    우물은 다른 곳 보다 깊게 파면서 지형이 낮아지니깐

    주변의 물길도 모이게 되는거지요.

  • 안녕하세요. 까칠한호저172입니다.


    물이 흐르는 길을 찾은 다음에 땅을 파서 계속

    물이 차고 우물에서 물을 길어서 사용했겠죠?

    현재은 물길을 아예 파이프로 만들죠.

  • 안녕하세요. 도도한카구34입니다.

    지하수가 우물에 스며들어 우물에 점점 차게된 것이지요. 땅속 지하수기 때문에 시원하고 맑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귀여운네레미스223입니다.

    우물은 현재의 지하수 입니다.

    지하수의 수맥을 찾아 뚫고 그 뚫은곳에 우물을 만들어 물을 기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