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엄지빌가락이 오르막길 오를때 불편해요..
어렸을적에 엄지발가락이 부러졌었는데.. 30년 이상이 지난뒤
지난해부터 걷는게 불편해요.
특히 오르막길 오를때 엄지발가락 부러진 부위가 불편하며. 발가락도 많이 굽혀지지않아요. 왼발에 비해서 굽혀지는 정도가 적어요. 엄지발가락이 바로 옆 발가락을 조금 미는 형상이예요.
어떤 운동 또는 마사지를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엄지발가락이 불편하시군요.
엄지발가락이 부러진 후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불편하시다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입니다.
굽혀지는 정도가 적다면 꾸준한 재활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었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들이 순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30년전에 다쳤다면 지금에서야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 잘 설명되지는 않네요. 일단 정형외과에 가셔서 X-ray로 확인을 해 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단순히 운동이나 마사지로 해결될 것 같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발가락 관절의 염증이나 주변 인대나 힘줄의 염증으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단 휴식 및 온찜질을 하면서 경과를 보시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증상 정도에 따라서 물리 치료나 약물 복용, 필요하다면 관절강내 주사 치료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수술 후 연부조직의 섬유화로 무지외반증을 의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휘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걷는 것은 물론 신발을 신기도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있습니다. 휘지 않은 발가락 바닥에 굳은 살이 생기며, 정상적인 보행이 어렵습니다. 보행시 발 뿐만 아니라, 무릎, 허리까지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은 외상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며, 굽이 높고 폭인 좁은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등 지속적이고 강한 압력으로 인해 심해지기도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편한 신발 착용이 중요합니다. 발의 길이보다도 발 폭에 신경을 써서 발이 압박받지 않도록 합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내원하셔서 정확한 상태를 점검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