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진짜로대담한금붕어
진짜로대담한금붕어

RFCA 이후 심박변화 추지에 이상이 생겼습니다 신경계 문제 일까요 ?

성별
남성
나이대
47

심방세동으로 RFCA를 받았습니다. 두달 조금 지났고 횡격막 신경 마비가 동반되는 후유증이 생겼습니다.

이 후유증이야 시간이 지나면 나아진다 하더라도 심장부하량(운동량)이 증가되어도 심박수 증가가 유의하게 변하지 않습니다. 이로인해 조금만 움직이면 심장이 두근거리고 매우 세게 박동하는 느낌이 들고 매우 불편합니다. 어지러움 때로는 구토할 것 같은 느낌까지 듭니다.

자율신경계의 이상인지요 ?

운동량에 의한 심박수 차이는 아닙니다 (아마추어 선수급으로 25년동안 매일 운동 해 왔습니다)

왼쪽은 시술 전 오른쪽은 시술 후 입니다.

Stage4에서의 심박수 차이와 recovery HR차이가 너무 큽니다.

신경과를 가야하는지 순환기내과를 가야하는지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

    회복시 심박수가 120을 상회하는 상태로, 심전도가 없어 리듬이 정상 동성리듬인지 심방세동의 리듬인지는 모르겠으나, 회복시의 심박수가 높아 심방세동의 재발을 감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단순히 휴식 도중에도 앉았다가 일어나는 경우 어지럽고 핑 도는 기분이 든다면 기립성 저혈압(자율신경계로 인한)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지만, 과거력이 있어 순환기내과를 먼저 방문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심방세동 후 RFCA를 받은 뒤 심박수의 변화와 자율신경계 증상(두근거림, 어지러움, 구토 등)은 신경과나 순환기내과 모두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해 심박수 조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의 부하에 대한 반응이 비정상적인 것일 수도 있죠

    이 경우, 순환기내과에서 심장의 기능과 심박수 조절 문제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필요시 신경과에서 자율신경계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할 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