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3.01.30

동독과 서독이 통일을 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과거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을 가진 독일은 통일이 되었는데, 독일이 통일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떤 역사적 배경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독과 서독이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는

    동독 공산당이 대규모 시위를 하자 동배를린에서 100 만명이 시위를 하며 국경이 열렸습니다.

    속전속결로 통일이 이루어 졌고 만약 느리게 진행되었다면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당시 동독에는 소련군이 34만명이 있었습니다.

    서독 콜 총리가 고르바쵸프를 방문하고 독일 통일을 약속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요소가 있었겠지만 통일을 하겠다는 양국 국민의 지지와 결단이었습니다. 독일 통일을 주변 강대국들이 모두 지지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분단의 역사적 배경이었던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독일의 최종적 주권이 미소영프 4대 승전국에 있었음에도 미국의 지지 그리고 소련의 묵인, 영국과 프랑스의 반대와 주변국가의 우려에도 통일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양 독일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결단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이 전쟁 없이 통일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동유럽의 공산정권이 모두 무너지는 상황이었고, 공산주의의 종주국인 소련이 해체가 되는 상황 이었습니다.

    또 독일은 분단 직후 부터 동독과 서독이 편지를 부족 받았었고 나중에는 사람도 왕래를 했습니다.

    동독과 서독의 정치인들은 통일을 위해 엄청난 노렸을 했으며 통일을 하더라도 동독의 정치인들을 처벌하지 않겠다고 서독이 약속을 합니다.

    그렇게 평화적으로 통일을 하게 되었던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서독이 동독에 비해 월등하게 잘 살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동독 주민들도 서독과 통일되기를 원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일은 제 2차세계대전이 끝난 뒤 연합국에 점령당합니다.

    연합국의 대표적인 국가로는 영국,프랑스,미국,소련으로 이들은 전쟁기간 독일에 대항한다는 점을 공유하고

    일시적인 전시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러나 독일이 패망하고, 소련이 공산주의를 점령지에 퍼뜨리려 하자 미국,영국,프랑스는 소련을 적으로

    여기고 극심한 대립을 했지요.

    이 과정에서 소련이 점령한 독일지역은 동독이 되었고, 미.영.프의 점령지는 서독이 되었습니다.

    독일인의 의지와는 전혀 무관하게 미국,소련등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이루어진 분단입니다.

    1990년대 들어 이러한 미국vs소련 구도의 냉전이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소련의 경제 발전 속도는 크게 늦추어지기 시작했고요, 공산주의 국가에 사는 시민들은 언론과 개인의 자유를 통제하는 공산주의 정권에 불만을 가지고 개혁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운동이 소련과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를 휩쓸었고, 마침내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은 물러나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도 해체되고 맙니다.

    공산국가였던 동독 또한 이러한 물결을 타고 공산주의 정권은 물러났습니다.

    동독과 서독은 국민투표를 통해 통일 지지 여부를 물어봤는데요, 전국민의 대부분이 찬성으로 동독과 서독은 통일이 됬고, 베를린은 통일정부의 수도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