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주거비는 소득의 몇 %정도여야 적정선인가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이 저렴하지만 조금 좁은 느낌입니다. 현재 소득에 갈 수는 있지만 지금껏 주거비를 최대한 아껴와서 그런지 선뜻 손이 안가더군요. 그렇다면 주거비는 소득의 몇 %정도여야 적정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주거비의 경우에는 가구 소득의 30%~40%정도를 차지하는 정도가 그나마 마지노선이라고 볼 수 있는데,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른 고정비의 비용이 어느정도 추가로 있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질수가 있어요

  • 일반적으로 주거비가 소득의 15~25%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소득의 15% 정도를 주거비로 지출하면 적절한 수준이며, 최대 25%까지 허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추세와 서울 등 주요 도시의 높은 집값을 고려할 때, 적정 수준은 25~30%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월세의 경우 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거비 부담이 크므로, 이를 고려하셔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주거비는 전체 소득의 30%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말해집니다. 이는 주거비를 너무 많이 지출하지 않고도 생활비와 저축에 충분한 금액을 할당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질문해주신 주거비는 소득의 몇 % 정도여야 적정선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주거비는 적으면 적을 수록 더 좋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소득의 20 ~ 25% 내외면 적정선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 주거비는 고정비에 해당합니다 주택을 구매하여 이자로 지불하는 비용이 아니라면 최대로 잡아서

      월급에 20%라고 생각합니다.

    • 서울의 경우는 주거비가 너무 높아서 20%로도 힘들 수 있습니다 이는 서울에 살지말고 경기도로

      넓혀서 생각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 주거비와 같은 경우에는 월세 등이라면 나의 소득에 10~15%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며 내 집 마련이라면 30% 정도가 적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소득대비 주거비 적졍비율은 가구수 및 소득분포등에 따라 다를수 있으나, 우리나라 1인 가구 월소득 대비 주거비 비율이 평균 16% 정도이고, 3~4인 기족 소득대비 주거비율은 25% 또는 30%로 잡습니다. 미국의 경우 주거비 임대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정부는 소득의 30% 이상을 월세로 지출하는 가구를 '월세 과부담'으로 정의합니다.

  • ✅️ 주거비는 소득의 30~40% 정도여야 적정하며, 50%를 초과한다면 사실상 과도하다고 봅니다. 조금 좁더라도 주거비를 더 많이 올려야 더 좋은 곳으로 갈 수 있다면 진지하게 이사를 다시 생각해 보셔야 하겠습니다.

  • 소득 규모와 가족 구성에 따라 양상이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월세와 이자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10~15% 이내가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주거비는 소득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소득의 20~30%를 주거비로 사용하는 게 적정하다고 여겨집니다. 이것을 소득 대비 주거비 30%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이 비율이 20%를 넘으면 주거비 부담이 과중하다고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