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래소인 OKX 거래소에서 코인거래를 하려면 업비트에서 코인을 보내서 거래를 하는데, 코인별로 수수료가 다른 이유가 뭔가요?
항상 리플이나 트론으로 매수해서 해외 거래소에 보내곤 하는데요. 전송 수수료가 저렴한 코인이 있는 반면
너무 비싼 코인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코인마다 수수료가 달리 적용되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코인 거래할 때 번거롭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마다 사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조와 운영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리플의 경우 전송속도가 빠르고 수수료가 저렴한 편인데 이는 리플이 중앙화된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해서 트랜잭션 처리비용이 낮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경우 작업증명이나 지분증명 같은 분산형 네트웍크를 사용하다 보니 채굴자나 검증자가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 많은 자원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수수료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혼잡도에 따라 수수료 정해집니다. 수수료는 네트워크가 얼마나 붐비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로 이더리움이 사용자가 많아 트랜잭션이 몰리면 수수료(가스비)가 급등할 수 있고 반대로 리플이나 트론은 이런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미쳐서 수수료가 안정적인 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마다 메인네트워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코인마다 자체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있고 여기서 트랜잭션이 발생하게 될경우 해당 코인을 수수료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각 코인네트워크 구조상 속도도 다르며 과거의 네트워크는 처리속도도 다르고 1블록당 처리속도가 천차만별인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서 트랜잭션의 원할함과 운영하는 재단의 백서상의 처리원활을 위해서 코인 가스비를 상이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크게 차이가 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별로 송금 수수료가 다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코인마다 블록체인이 다르며
그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수수료는 자체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전송은 거래소별 수수료가 아니라 코인 메인넷 가스비라고 하는 전송비용 수수료가 메인넷마다 다 틀립니다
이더리움계열 같은 경우는 엄청 비싸죠 그래서 번거 롭더라도 싼거로 전송하는게 진리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각 코인별로 사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웍이 다르고 또한 각 네트웍의 복잡도에 따라 가스비가 천차만별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외 거래소의 코인 수수료는 매우 비싼 편이라 이벤트 참여를 통해서 수수료를 아끼거나 복잡도가 높지 않을 때 이체 하는 게 그나마 수수료를 아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벤트는 친구 추천을 하게 되면 수수료 절약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니 가족을 동원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거래소인 OKX로 코인을 전송할 때 코인별로 수수료가 다른 이유는 각 코인의 네트워크 수수료 부과 방식과 거래소 정책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각 암호화폐는 고유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이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가 검증되고 기록됩니다. 이러한 거래 검증 및 기록 과정에는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지급되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 수수료가 바로 네트워크 수수료입니다. 네트워크 수수료는 해당 코인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혼잡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합니다. 거래량이 많아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는 거래를 더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더 높은 수수료가 요구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네트워크가 한산할 때는 수수료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마다 전송 수수료가 다른 이유는 코인별로 이용자수도 다르고 해당 코인이 가지고 전송속도 등 가지고 있는 기술력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비용도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