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어떤마음가짐으로 대해야 화를 안내며 대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아이가 무슨 실수를 하게되면 아직 어리니까 당연히 실수할 수도 있지라는생각으로 이해를하려고하는데 가끔 저도모르게 목소리가 높아질 때가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고치기 위해선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를 훈육할 때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감정적으로 이야기 하게 됩니다. 사람이라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어른이기 때문에 아이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줘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아이가 이번 실수로 새로운 걸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고 생각하시고 아이에게 따뜻한 조언을 해주세요. 화가 많이 난다면 심호흡을 하는 연습, 10초 세고 이야기 하는 연습을 계속 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 아이들의 훈육은 매우 어렵습니다. 특히나 아이들이 하지 말아야 되는 행동을 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할 경우에는 대처를 잘 해주셔야 하는데, 보통은 화를 내는것이 정상적인 반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아이에게 계속해서 보여줄 경우 아이가 폭력적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제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이는 아주 어렵지만 쉼호흡을 하면서 다른 생각을 하는등 숨을 고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이를 교육시키는 것은 너무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화를 내면서 이야기를 한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훈육의 상황시 단호한 표정과 행동으로 명확하게 이야기를 하되, 감정표현은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았거나, 실수를 해서 잠시 욱 하면서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는 것을 아이에게 좋지 않습니다,
큰 소리는 아이의 자신감 및 자존감을 깎아내릴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 공포와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화가 난다면 잠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마음을 가라앉힌 후,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세요.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실 때에는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이야기가 끝나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주신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도록 하세요.
육아를 하다보면 가끔 화도나고 짜증도 나죠.
아이의 나이에서 보면 당연한 행동이고 몰라서 그럴 수도 있는데
부모님은 아이 눈높이 보다 부모님의 눈높이에서 보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다 보니 부모님의 감정이 개입되는 거죠.
아이가 나이에 맞는 행동이나 활동 부분에서는 너그럽게 지켜봐주시고
교육이 필요하다 싶으면 개입을 해주면 좋을듯해요.
부모님도 꾸준히 육아에 대한 공부와 자기성찰이 필요한거 같아요.
화가 나는건 당연한겁니다
항상 약속을 정하세요
그리고 잘한일에는 칭찬스티커를 활용합니다
보상시스템을 확실히 이용하고
약속은 칼같이 지키도록 합니다
항상 일관되고 가족구성원이 다같이 규율을 지킴니다
아무래도 부모님들도 부모라는 역할이 처음이고 육아를 하다 보면 스트레스를 받게되다보니 아이들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때에는 매순간마다 자기반성을 해주시는게 중요합니다. 어떤 부모들 같은 경우에는 벽 한 면에 아이를 육아하면서 절대해서는 안 될 일들에 대해서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써붙여놓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걸 화가 날 때마다 속으로 보며 읽어본다고 합니다. 이 험난하고 각박한 세상에 부모들만 바라보며 태어난 아기들입니다.물론 모든 부모들이 자기 자식들을 사랑하겠지만 애정 어린 마음으로 우리 아이들을 화나는 마음은 한층 사그라들게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