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신랄한여치111
신랄한여치11123.04.01

부동산가격이 저출산과 영향이 있을까요?

대한민국은 현재 저출산국가입니다.

그러면 20~30년뒤 집을 보유하려는 소유가 적어질것이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상향하던 부동산시세는 큰 하락세로 전환하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1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물론 영향이 없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인구가 줄면 다연 전체적인 수요가 감소하기때문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은 매우 복합적인 요인으로 변동하기에 인구수만 가지고 단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향후 20~30년 안에는 그렇게 눈에 보이는 변화는 오지 않을 것입니다.

    정부의 주택 장기계획은 그것보다 훨씬 더 긴 기간을 대상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재건축의 노후 기준 연한이 30 년인데, 그런식으로 따지면 30년 후에 집값이 하락한다면, 지금 누가 재건축을 하려 하겠습니까?

    1인가구수가 많아지고 다주택자가 더 많아질 수도 있고, 그 시대의 변화를 따라 부동산가격은 출렁이며 차별화된 시장으로 재편되어 질 것으로 사료됩니다.

    제 짧은 식견으로는 먼 미래의 일보다는 지금의 부동산에 집중하여도 향후 2~3년앞도 예측이 불가한 실력이라, 저를 포함한 우리 모두는 막연한 미래에 대해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봅니다.

    이상으로 답변에 갈음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출산율의 지속적인 감소 및 초고령화로 인구수에 대한 감소는 앞으로 계속 될거라는 통계와 전문가들 의견이 많습니다.

    하지만, 1인 가구수의 증가로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부동산 수요는 높아질 것이고, 인구밀도가 낮은 지방같은 도시에서는 부동산 수요가 낮아질것으로 예상이 되기 때문에 지역별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수요도에 따라 편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글을 올려봅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저출산이 부동산 가격을 하락시킨다는 것은 부동산 하락론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레파토리입니다.
    대한민국의 출산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음에도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잖아요.
    이 부동산 가격이 거품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을 거예요.

    일본의 경우..
    젊은 세대들이 많이 사는 도시들의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는 반면
    노인 세대들이 많이 사는 시골들의 부동산 가격은 가치가 없어지는 있죠.


  • 안녕하세요. 남정이 공인중개사입니다.


    전혀 관련없지는 않겠지만

    주변 미혼 남녀중 상당인원이 집을 소유하고 있음에도 결혼 안하고 싱글라이프를 즐기고 있습니다


    결혼하기전엔 출산 안한다던 주변동료나 지인들중 신체 이상이 없는한 수년지난후엔 아기를 낳습니다


    그런걸 보면 결혼을 해야 출산도 가능인데 결혼 안하는 문화가 더 큰 영향 있는거 같습니다


    향후 2~3년도 예측이 어려운데 20~30년 부동산 전망을 누가 예측할 수 있을까요?

    예측 가능하다면 그사람은 신이 아닐까요?



  • 안녕하세요. 정미숙 공인중개사입니다.


    저출산으로 20~30년 뒤 평균적인 주택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직장 및 교육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주택 또한 부익부 빈인빈으로 수도권 지역은 쉽게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OECD국가의 출산율 평균은 1.2정도 입니다.

    저희나라는 0.78을 기록하여 저출산고령화가 아주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부동산가격 폭등으로 저출산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볼수있어요.

    집이 있어야 결혼도하고 출산도 할수있다고들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의 수요는 사람입니다. 인구가 줄어들면 수요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인구 감소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매우 장기적인 시각으로 봤을 때 이렇습니다.

    이미 인구 감소가 수십년째 이어져오고 있는 유럽 선진국들의 집값이 여전히 상승하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합니다.

    하지만, 지방 부동산은 수요 급감으로 짧은 기간안에 침체기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지방 도시의 경우 빈 집이 상당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물론 일차원적으로만 생각하면 인구는 줄고 수요에 줄어들어 큰 하락세로 될 수 있을 것이다 생각이 될 수 있습니다.

    → 저도 일부 납득이되는 의견입니다

    다만 조금만 관점을 바꿔서 보면 인구가 줄어드니 대형평수에대한 수요가 줄고 소형평수에 대한 수요가 올라갈 수 있겠다라는

    의견도 나올 수 있겠죠?

    부동산 시장 전체가 하락세가 된다는 의견보다는 하락이 되는 물건도 있을것이고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아져 가치라 올라가는 물건도 있을 것입니다.

    위 의견도 제 개인적인 의견일 뿐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