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를 비롯해 멕시코에서 미국에 보복관세를 선언했던데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번질 가능성은 있는지?
최근에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인해서 캐나다와 멕시코 측에서도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더라고요. 맞불 관세 작전인가 싶은데 이런 상황이 글로벌 무역 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특히 우리나라같은 제조업 중심 수출국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미국과 FTA를 맺고 있어서 관세가 꽤 많이 폐지된 상태라고 하던데 트럼프 대통령이 정권을 잡다보니 어떻게 될지 모르겠더라고요.
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가 이런 상황에선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 전문가분들의 의견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최근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해 25% 및 10%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시작된 '관세 폭탄'은 캐나다와 멕시코의 즉각적인 보복관세 발표로 이어졌습니다. 캐나다는 미국산 제품에 대해 30억 캐나다달러(약 22억 USD) 규모의 25% 관세를, 멕시코도 유사한 맞불 관세를 예고하며 대응에 나선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의 수출국으로,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40%에 달할 정도로 무역 의존도가 높습니다. 특히 미국은 우리나라 수출의 주요 시장(2023년 기준 약 18%)으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덕분에 대부분의 품목에서 관세가 면제되거나 낮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FTA를 재협상하거나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가장 먼저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EU, 아세안, 인도 등 대체 시장을 적극 개척해야 합니다. 다만 이러한 부분은 장기적이기에 현재로서는 생산을 외주화하거나 가능하면 관세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캐나다와 멕시코가 보복 관세를 선언하며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맞대응은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특히 세계 경제에 중요한 제조업 중심 국가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은 한미 FTA로 대부분의 관세가 철폐된 상태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대미 수출 품목 다변화와 현지 생산 확대 등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동시에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비해 무역 협력을 강화하고, 비관세 장벽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은 멕시코, 캐나다 뿐만 아니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물품에는 상호관세 등의 관세부가 조치를 하겠다고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중국이나 유럽, 우리나라도 대상이 됩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FTA를 체결하였으나 한-미FTA 예외조항을 통하여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은 관세를 정치적, 경제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관세부과 조치가 관세전쟁 등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