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을 하면서 자주 짜증내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초등학교 3학년 여자아이입니다. 아이가 공부를 하면서 어려운 것이 나오면 심하게 짜증을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의 짜증이 나는 이유를 파악하고, 학습을 너무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잠시 휴식 후 학습을 다시 시작하거나 짧은 시간 동안 집중하는 방법을 적용해 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습을 하면서 어려운 부분이 나오거나 막히면 짜증을 내는 이유는
아이 딴에 문제에 대한 막힘이 발생하니깐
어떻게 풀어야 할지 막막함으로 인해서 순간의 감정을 짜증을 내는 것으로 전달하는 것인데요.
하지만 문제가 어렵다고 해서 짜증을 내는 행동은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자신의 감정을 제어하고
조절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것을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어려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짜증을 낸다면 아이의 학습을 중단 시키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어려운 문제가
나왔다고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공부하면서 자기 뜻대로 잘 안되기 때문에 짜증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차분하게 할 수 있는 음악과 스스로 감정을 다스릴 수 있도록 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뜻대로 잘 안될 경우 호흡을 통해 짜증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어려우면 추변사람(선생님, 학원, 친구, 부모님 등)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도 알려주면 좋을듯 합니다.
초등학교 3학년 여자 아이가 학습을 할 때 자주 짜증을 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받아 들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짜증이 나는구나, 어떤 부분이 힘든걸까?'
어려운 것이 나와서 짜증이 심해지면 잠시 학습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수준에 맞도록 적정 난이도를 학습하는 것도 도움이 되리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갖는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불만을 표현할 때, 그 감정을 부정하거나 무시하기보다는 "지금 어려운 부분이 있구나"라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는 그 자체로도 자신의 감정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고 있으므로, 부모가 그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한결 편안해 질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아이가 학습 중 겪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것이 필요합니다
문제를 풀지 못하고 짜증을 내는 순간, 아이가 겪고있는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이문제를 어떻게 풀면 좋을까?"라고 물어보면서 함께 해결책을 찾아보는 접근이 도움이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어려운거 스스로 잘못해서 그럴수있어요 우선은 기다려주시면서 너무 어렵다고 느끼고 화가날때는 심호흡하며 진정하면서 부모에게 물어볼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아요
안녕하세요.
학습을 하면서 잘 풀리지 않아서, 속상하고 짜증을 낼 수는 있습니다. 다만, 그렇게 짜증을 낸다고 해서 풀리지 않던 문제가 풀리는 건 아닙니다. 마음의 문제이므로, 짜증이 나더라도 이 짜증을 극복하고 풀어내고자 노력하는 마음을 가지는 게 중요하다는 걸 알려 주세요. 그리고 너무 강박적으로 풀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고, 모르겠다면 선생님이나 보호자님에게 물어보면 된다는 사실을 알려 주어, 아이의 부담감을 해소해 주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학습을 하면서 자주 짜증을 낸다면 이러한행동이 주변사람에게 불편할수있으니 조심하라고 주의줍니딘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어려운 문제가 나와서 짜증을 낼 때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하지만 어려운 문제를 통해서 더 성장하고 많이 배울 수 있음을 알려주세요
아이의 시도와 노력에 칭찬을 해주시고, 천천히 풀거나 쉬운 문제를 먼저 풀면서 기초 학습을 높여 주세요.
실패와 끊없는 도전으로 성공한 위인의 사례를 이야기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