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식물은 독립영양생물이지만 균류는 종속영양생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합성할 수 있는 독립영양생물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균류는 종속영양생물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식물은 독립영양생물, 균류는 종속영양생물로 분류되는데, 그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광합성 능력과 엽록체의 유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식물 세포는 엽록체를 가지고 있으며, 엽록소를 비롯한 광합성 색소가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ATP, NADPH)로 전환하는데요, 이 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CO₂)와 물(H₂O)을 원료로 유기물을 합성하며 따라서 식물은 외부에서 유기물을 섭취하지 않고도 스스로 생존에 필요한 양분을 만들 수 있어 독립영양생물이라 부릅니다.

    반면에 균류는 엽록체를 가지지 않는데요, 균류 세포에는 엽록체나 광합성 색소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태양광을 이용해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합성할 수 없습니다. 또한 균류는 세포 외부로 소화 효소를 분비하여 주변의 복잡한 유기물을 잘게 분해한 뒤, 작은 분자를 흡수하여 에너지를 얻는데요 즉, 스스로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해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가장 큰 이유는 엽록소의 유무입니다.

    식물은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영양생물입니다.

    엽록소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에너지를 이용해 물과 이산화탄소 같은 무기물로부터 스스로 유기 양분인 포도당을 합성합니다. 따라서 식물은 다른 생물을 먹을 필요 없이 생존에 필요한 양분을 스스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곰팡이나 버섯 등 균류에는 엽록소가 없어 빛을 이용해 양분을 합성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생존에 필요한 유기물을 외부로부터 흡수해야 합니다.

    주로 죽은 동식물이나 유기물에 효소를 분비해 분해한 후, 그 양분을 흡수하여 살아가는데, 이처럼 다른 생물이 만든 유기물에 의존하는 생물을 종속영양생물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생물 중에서 유기물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생물들을 독립 영양 생물이라고 합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있는 탄소를 유기물질을 만들어냅니다.

    이에 반해 균류는 이런 유기물질을 스스로 만들어내지 못하고 유기물질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양분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종속 영양 생물이 됩니다.

  • 식물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 빛 에너지를 이용해 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독립영양생물이지만, 균류는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외부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흡수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종속영양생물이기 때문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