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속한개미핥기133
신속한개미핥기13323.12.14

과격한 운동을 하거나 술을 마셨을 때 심장이 일반적이지 않게 빨리 뛰는데 원인이 뭘까요?

나이
2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평소에는 멀쩡한데 아래 같은 상황에서 심장이 급속도로 빨리 뜁니다.

1. 축구를 하다가 호흡이 거칠어질 때 급하게 몸을 움직이는 동작에서 숨이 확 차오르면서 심장이 빨리 뜁니다

2. 헬스를 하다가 호흡이 거칠어질 때 숨을 잘못 들이마시는 순간 심장이 빨리 뜁니다

3. 술을 마실 때 심장이 기본적으로 빨리 뛰고 얼굴이 빨개지는데 일어나서 찬바람을 맞을 때

4. 극도로 긴장하거나 불안상태일 때

심장 박동이 온몸으로 느껴질 정도로 쿵쿵거리고 초당 6회 정도 수준으로 매우 빠르게 뛰어서 이런 현상이 일어날 때 무조건 바닥에 누워서 안정을 취해야만 합니다. 짧게는 5분 길게는 30분 넘게 지속되었다가 뭔가 증상이 딱 멎는것처럼 쿵! 쿵! 하면서 사라집니다.

운동이나 스포츠를 좋아하는데 이런 현상때문에 겁이 나기도 하고 이전에 심전도 검사를 받았는데 특별한 증상이 발견되지 않아서 그냥 넘어갔습니다. 이런 현상이 지속된지는 8년정도 되었고 점점 심해지고 있다고 느낍니다.

원인이 무엇인지,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어떤 질병으로 의심이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과호흡 증후군의 가능성도 고려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과호흡 증후군은 호흡이 과도하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동맥혈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37~43mmHg 범위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든 호흡이 과도하게 이루어져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지면 과호흡 증후군이 발생합니다.

    과호흡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호흡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이후에는 낮은 이산화탄소 농도로 인해 호흡이 감소합니다.

    몸의 알칼리화로 인한 증상으로 어지러움, 감각 이상, 손발의 경련, 근육 약화, 가슴 통증, 부정맥, 어지러움, 시각 이상, 실신,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호흡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 원인으로는 폐나 심장 질환, 폐렴, 천식, 기흉 등 호흡 기관 질환, 그리고 대사성 산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포함됩니다. 정신적 원인으로는 불안, 스트레스, 정신 질환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과호흡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동맥혈 가스분석검사가 주로 사용되며, 이것을 통해 혈액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단 후, 원인 질환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시행됩니다. 신체적 원인인 경우 해당 질환을 치료하고, 정신적 원인인 경우 정신 치료나 약물 치료가 고려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두근거림은 발견되지 않은 부정맥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니 심장내과(순환기내과)를 방문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교감신경이 항진될만한 상황들에서 그로 인하여 심장이 두근거리고 빨리 뛰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심전도 등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다면 당장 크게 걱정할 것은 없어 보입니다. 많이 걱정된다면 24시간 홀터 검사 등 더 자세한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자율신경계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하여 심장이 두근거리고 빨리 뛸 수는 있지만

    그 정도가 심하다고 느껴지시는 듯 합니다만...

    트레드밀 테스트 라고 운동하면서 (런닝머신) 심장을 모니터 하는 검사가 있는데

    그 거 외에는 특별히 떠 오르는 것이 없네요 .

    내과 방문 상담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