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지우가 계속 온난화 되면은 벌레들이 활동과 인간과의 관계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지구가 온난화가 가속화 되면서 평소 우리나라에서 보지 못한 벌레들도 이제는 볼 수 있는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만약 온난화가 가속된다면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유해한 곤충들의 출현도 더 엄청 잦아질까요

아니면 그들도 온난화에 못 이겨서 안 좋은 쪽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거나 멸종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온난화로 곤충 신지대사, 번식기가 상승해요

    북상 고지대로 분포 확대돼 해충 질변 위험이 증가했고 극한 온도서 취약종이 감소했답니다.

  •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면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유해 곤충들의 출현이 더욱 잦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곤충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곤충은 개체 수가 감소하거나 멸종할 수도 있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따뜻한 기후를 선호하는 곤충들이 원래는 서식할 수 없었던 지역이나 추운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겨울철 기온이 상승하면서 해충들이 월동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 생존율이 높아지고, 발육에 필요한 온도가 일찍 갖춰지며 발생 시기가 빨라지고 연간 발생하는 세대수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더욱이 기후 변화로 인해 곤충의 생활사가 변하면서 해충의 천적과의 관계가 어긋나 천적의 역할이 감소하고 해충의 밀도가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씀드렸지만, 모든 곤충이 온난화에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특히 열대나 아열대 지역의 곤충 중에는 고온의 좁은 온도 범위에 적응되어 있어, 평균 기온이 생육 적온을 넘어서게 되면 발육이 길어지고 생존율이 감소하여 종 다양성이나 풍부도가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꿀벌과 같은 화분 매개 곤충들은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개체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 전체의 균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수 있음은 물론이고 식량 생산에도 큰 위협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지구 온난화는 전반적으로 유해 곤충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확산시키는 경향을 보이지만, 동시에 특정 곤충 종의 감소나 멸종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즉,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특정 곤충들은 온난화로 인해 더욱 활개를 치는 반면,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곤충들은 위협받는 이중적인 상황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온난화가 진행되면 대부분의 곤충은 서식지 범위를 북쪽이나 고지대로 확장해서 활동기간이 길어지고, 인간과의 접촉기회는 오히려 증가하게 됩니다.

    예를들어서, 말라리아모기나, 붉은불개미, 외래 해충들은 따뜻한 기후에서 번식력이 높아지는 특성이있는데,

    이들은 인간의 건강이나 농업피해를 더 심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면 유해 곤충의 출현이 잦아지고 개체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온 상승은 곤충의 신진대사와 성장을 촉진하여 번식률을 높이고, 서식지 확대 및 이동을 유발하여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농작물 피해 증가와 생태계 교란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부 익충의 감소와 맞물려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온난화가 계속되면 기온 상승으로 인해 열대 및 아열대 곤충들이 북상해 새로운 지역에 정착하면서 유해 곤충과 전염병 매개 곤충의 출현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고, 반면 적응하지 못하는 일부 곤충들은 개체 수가 감소하거나 멸종하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인간과 곤충의 접촉과 피해 사례는 더 잦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