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빨간레아262
빨간레아26224.02.24

정월대보름에 호두나 땅콩먹는것의 유래가 뭔가요?

정월 대보름이 되면 호두나 땅콩을 먹으면서 귀밝기술도 한잔하는등의 행동에 대한 유래가 있을까요? 왜하게 되었는지 언제부터 하게된건지등이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활달한집게벌레295입니다.

    땅콩이나 호두를 부름이라고 하여 정월 대보름에 부름을 먹으면 부스름이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깍듯한파랑새229입니다.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며, 한 해의 풍요와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 날은 설날에 버금가는 중요한 날로

    여겨져 왔으며, 그 시작은 고구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 당시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새로운 시작을 하기 위해 나쁜 기운을 쫓아내고, 좋은

    기운을 불러들이는 데 큰 의미를 두었습니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럼: 날밤, 호두, 은행, 잣, 땅콩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을

    말합니다.

    2. 오곡밥: 쌀, 보리, 조, 콩, 기장 등의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입니다.

    3. 나물: 다양한 나물들도 무쳐서 만들어 먹습니다.

    4. 귀밝이술: 정월대보름날 아침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는 것을

    말하며, 이를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해 일 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정월대보름에는 다양한 놀이와 행사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달집

    짓기, 쥐불놀이, 오곡밥 먹기, 복주머니 만들기, 윷놀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사들은 모두 정월대보름의 전통적인 풍속 중 하나로, 한 해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