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4.07

태양외에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 있나요?

태양은 스스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태양계 및 주위 혜성이나 위성,행성들을 비추어 반짝이게 하는 항성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이 태양처럼 스스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빛을 내는 별이 태양 뿐인가요?

우리가 알고 있는 별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셀수 없을 만큼 많이 있죠 그리고 우주가 얼마나 넓은지 계속 팽창하고 있는지 등등은 이론만 있기 때문에 실제로 알긴 어렵습니다

    밤하늘에 보이는 별 대부분이 별(항성)이라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예, 있습니다. 태양 외에도 많은 별들이 스스로 빛을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별들은 "별광" 또는 "형광성 별" 이라고 불리며, 자외선 등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빛을 내는 현상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형광성 별 중 하나인 "알파 켄타우리"는 매우 밝은 별 중 하나이며, 높은 온도로 인해 파란색 빛을 내지만, 동시에 녹색 빛도 내고 있습니다. 이는 별의 표면에 있는 헬륨과 수소 등의 원소들이 자외선을 받아서 발광체로 변환되면서 녹색빛을 내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예로는 "레드 드워프"라는 형광성 별이 있습니다. 이 별은 매우 작고 빛이 어두운 편이지만, 자외선과 엑사선 등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붉은 빛을 내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 주변에는 많은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별들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욱 넓혀주는 중요한 천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처럼 빛을 내며 움직이지 않는 별을 항성이라고 합니다 우주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항성이 다수 존재하며 밝혀진 항성 들은 별자리의 형태로 우리에게 알려져있습니다 그중 몇가지를 소개하면 글리제 581은 천칭자리 데네볼사는 사자자리 미라는 고래자리 등 여러 항성들이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항성은 뭐 수천억개가 있고요,, 행성계를 가진것은


    에리다누스강자리에도 있고 고래자리의 타우별도 행성계를 가지고


    있고 백조자리의 별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곳의 행성이 우리가 살기에 알맞을지는 몰라도 이들이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계라 할수있습니다,,


    안드로메다 에 관한것은 일단 안드로메다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계로 예전에는 흐리흐리하게 보이는 것이 구름같아서 안드로메다성운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후에 안드로메다은하내의 케페이드 변광성을 통해서


    이것이 아주멀리 있는 다른 은하라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외부은하의 별이 밝게 보이는 일은 아주 드뭅니다,,


    가끕 외부은하에서 초신성(별의 폭발)이 일어날때 잠깐 보이기도 하지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빛을 내는 별은 많이 있습니다. 사실, 태양은 보통 크기의 별 중에서도 중소형 별에 해당합니다. 우주에는 태양보다 작은 적도형 별부터 수천 배 큰 초거대형 별까지 다양한 크기의 별이 존재하며, 이들 대부분이 스스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빛을 내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과 비슷한 크기와 온도를 가진 별을 "G-형 별"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G-형 별들은 우리 은하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태양은 G-형 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태양과 비슷한 별은 많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 외에도 스스로 빛을 내는 다른 별이 있습니다. 이러한 별들을 '별'이라고 부르며, 대부분의 별들은 수소와 헬륨 등의 원소가 융합되어 열과 빛을 방출하는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을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별 중에서도 특별한 종류의 별들은 핵융합 반응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빛을 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중성자 별은 중성자가 밀도 높은 상태에서 서로 충돌하여 방출되는 빛으로 스스로 빛을 내고 있습니다. 또한, 흑점이나 광학적 이중성 등과 같이 별의 표면 또는 주위에 있는 물질에 의해 빛을 반사하거나 방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