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사는 시민들도 적은 데 아무데나 큰 건물을 짓는 건설업체 사람들은 왜 돈에 집착할까요?

흔히 건물을 크게 지은 현장을 보면 완성이 되어도 회사나 가게를 아직도 못 차렸고 이사오는 입주자들도 드물만큼 적은데 계속 건축하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반대로 오래된 집에서 사는 사람들은 가난하고 일상에 지쳐 사지도 못하는 경우도 많고요.

광고에 나와서 보여줘봤자 절래절래 거절하는 시민들도 많았죠.

자꾸 지으면 환경파괴에 예산낭비일텐데요.

아무리 크고 튼튼하게 지어도 사는 시민들이 적을 텐데 아무데나 큰 건물을 짓는 건설업체 사람들은 무엇때문에 돈에 집착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건설업체가 무작정 돈만 밝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조금 다릅니다. 실제로는 분양만 잘되면 땅값 오르고 대출 갚을 수 있고 또 정부 규제나 세제 혜택 같은 것도 얽혀 있어서 그냥 멈추지 못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건물을 지어놓는 게 자산을 묶어두는 수단이라 손해 같아 보여도 장기적으로 버티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주민들 눈에는 빈 건물만 보이고 환경만 망가지는 것 같으니 괴리감이 커지는 거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부동산 관련 문제입니다.

    말씀대로 우리들은 너무 많은 아파트를 짓고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이는 아마도 부동산 불패 신화 때문에

    아파트를 지으면 무조건 돈이 된다는 생각에 기인하고 있다고 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사는 시민들이 주타겟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노리는 것은 투자가들이죠. 어떻게서든 마케팅을 펼치며 뭔가 될 것 처럼 마케팅을 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분양만 하면됩니다.

    주로 그 지역을 잘 아는사람들보다 잘 모르는 지역의 사람들 중 돈이 좀 있는 사람들에게 찌라시를 뿌립니다.

    그렇기에 지역 주민들은 크게 관련이 없죠.

    또한 그렇게 큰 건물들이 있어야 도시가 소위 있어보여 뭔가 활성화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단일면적당 수익을 많이 높일 수 있습니다.

    예전엔 이게 먹히고 분양 받은 사람들도 꽤 많은 수익을 얻었지만

    지금은 신도시 분양의 실패가 너무 많다보니 이제는 이러한 분양은 어렵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누군가가 보기엔 투자매력도가 낮은 곳에 높은 건물을 짓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은 투자 목적으로 미래 가치를 보고 막대한 자금을 쏟아서 건축물을 짓는 것입니다. 당장은 손실이 크게 보일지라도 장기적으로 이익이 될 것이라 예상하고 투자를 감행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