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3.08.22

남녀평등이 조선시대에 불평등해진 계기는 뭔가요?

과거 역사를 보게되면 우리나라에는 여왕들도 여러명 있었을정도로 남녀평등이 지금보다 오히려 발전되었던것같은데

유독 조선시대에 남녀의차별이 심한것같습니다.

남녀차별이 심하게된 계기가 뭐가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때 남녀 차별이 심해진게 성리학이 들어오고서부터였습니다. 성리학의 유교사상에 입각한 "남아선호사상"의 일환으로 장자우대상속, 여성은 집안일만 하는 존재이며 관리가 될 수도 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역사에서 고대국가 때부터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완전한 남녀평등이었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특히 국가 운영 등의 정치적인 영역에서의 여성의 진출은 고대국가에서도 거의 없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부여의 태후, 고구려의 유화부인과 소서노 등이 일부 정치적으로도 영향력을 발휘하기는 하였지만, 그 이외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고구려 때에는 군에 여성만으로 이루어진 부대도 있었다고 하니 가장 진보적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신라에는 선덕, 진덕여왕이 있었다고 하지만 그것은 신라의 특이한 골품제의 탓에 왕이 될 수 있는 골품에 남자가 없어서 선덕, 진성여왕이 되었던 것이지 같은 골품에 남자가 있었으면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어느 정도 여성의 활동성이 보장되었었지만, 삼국시대에도 완전한 남녀평등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천제를 지낼 때 여성을 제물로 바치기도 하였습니다.

    다만 일상생활에서는 고려시대 이전 여성들의 활동이 더욱 왕성했다는 것은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재산소유, 재산상속을 할 수 있었고, 길쌈이라는 시장제도를 통해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었으며, 남녀의 만남과 결혼, 재혼도 자유로웠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성리학적 기반으로 유교사상이 기존의 불교사상을 멀리하는 숭유억불 정책이 시행되면서 유교적 가치 중 부부유별 같은 근본적으로 역할의 구분을 가져오면서 남녀의 차별이 심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역할의 구분으로 시작하였지만, 점점더 국정운영, 국방, 경제활동 등 주요 활동을 남성이 역할을 하고, 여성에게 집안, 가문의 운영에 대한 역할로 고착화되어 여성의 역량을 한게화하는 지경에 이르러 더 극심한 남녀차별로 이어진 것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중심 사회였기 때문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여성 차별이 별로 심하지 않았습니다.

    후기때 조선은 종교(유교)자체가 남녀차별 신분제 합리화 성격의 종교이다보니 남녀차별이 아주 심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에 남녀차별이 심해진 계기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유교의 영향입니다. 유교는 남성을 우월하고 여성을 열등한 존재로 간주했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교육, 경제, 정치, 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차별을 받았습니다.

    또 다른 원인은 경제적 요인입니다. 조선시대는 농업 사회였기 때문에,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여성들은 남성과 같은 교육을 받지 못하고, 남성과 같은 직업을 가질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가난하고, 사회적 지위가 낮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의 사회 구조도 남녀차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시대는 가부장제 사회였기 때문에, 남성은 여성을 보호하고 양육해야 할 책임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여성들은 남성에 종속적인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조선시대에는 남녀차별이 매우 심해졌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