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방구석써저리
방구석써저리

‘내수’의 의미 : 자국에서 생산되어 국내에서 팔리는 것만을 의미하나요?

a국과 b국이란 나라가 있다고 가정하면

a국의 환율 상승은 b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잖아요

그 결과로 a국의 내수를 위축시킨다고 합니다


저는 수입품의 가격이 비싸지니 내수는 더 원활해진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내수의 의미를 잘못 안것인지

아니면 제 사고의 문제가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수시장은 국내 소비자들로부터 나오는 수요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를 국내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시장을 말하며, 또한 외국에서 수입된 상품을 구매하는 시장을 뜻하기도 합니다.

    환율 상승은 수입제품에 대한 가격 상승을 유발하고,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하락시키기 때문에 소비를 위축시키는 이벤트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수란 국내 수요의 줄임말로, 우리나라의 정부와 민간에서 시행하는 소비와 투자의 총합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관점을 달리 봐야 할 것 갖고,

    만일 수입하는 상품이 꼭 필요한 원료라면 얘기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환율 상승으로 유가의 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내수 시장은 위축될 것입니다.

    즉 유가상승으로 인한 내수시장 위축은 유가가 상승하면서 연료 및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자들의 가계 경제에 부담이 늘어나고 기업들의 생산 비용 또한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수시장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수라는 것이 한나라의 정부와 민간에서 시행하는 소비와 투자의 총합을 말하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수는 국내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는 상품과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자국에서 생산되어 국내에서 팔리는 것을 내수라고 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 수입된 상품이나 외국 기업의 서비스도 내수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이라고 생각해보시면 우리나라에서 100원에 살 수 있던 원자재를 중국에서 200원에 사야한다면 당연히 생산단가는 올라가고 최종 재화의 가격은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수요가 줄어들고 내수시장은 위축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