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쌤이 이런 행동을 시키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의사쌤이 이런 행동을 시키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떨림과 균형잡는게 안되 상담중 제자리뛰기, 걷기, 눈감고 걷기를 시키셨는데
저는 눈감으면 한발짝도 억지로 걷습니다. 앞에 뭔가 벽이있는것 같고 몸이 좌우로 비틀거립니다.
한 후 뇌mri 찍어보자고 하셨는데
시키신 이유와 저의 이런증상이 나타나는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균형감각이상이 중추성인지 말초성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눈감고 걷기 제자리 뛰기 등의 행동을 시킨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의사선생님이 제자리 뛰기, 걷기, 눈감고 걷기를 시킨 이유는 신경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균형감각과 소뇌 기능을 보기 위해 평가한 것입니다. 이런 검사를 통해 몸의 균형을 잡는 능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는 의도입니다.
소뇌는 균형과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부분으로 여기에 문제가 있으면 걸을 때 비틀거리거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특히 눈을 감고 걷는 상황에서는 시각의 정보 없이 소뇌와 내부 균형감각만으로 걸어야 하는데 소뇌 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이런 상황에서 쉽게 비틀거리게 됩니다.
귀 안의 전정계 또한 균형을 유지하고 몸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전정계에 문제가 생기면 머리 위치 변화나 움직임에 따른 균형 감각에 이상이 생길 수 있씁니다. 이런 경우 어지럼증이나 비틀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여러 감각을 통해 균형을 유지합니다. 특히 발바닥의 감각을 통해 땅의 상태를 인식하고 균형을 잡습니다. 눈을 감고 걷는 것은 이런 감각들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뇌 MRI는 뇌의 구조적 문제를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MRI에서 소뇌나 뇌간,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를 진행하자고 한 것입니다. 여기서 소뇌나 중추신경계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떨림과 비틀거림의 원인을 명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방향을 결정하고자 검사를 권유하셨을 겁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신체 밸런스나 근력 또는 소뇌 기능 등 전반적 신경에 관련된 평가를 하신것으로 눈감고 걷기 힘들다면 머리쪽 문제를 제일 먼저 감별하기 위해 머리 검사를 추천하신것으로 생각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우선, 불편한 증상으로 걱정이 많으셨겠어요. 의사 선생님께서 그런 동작들을 요청하신 건 아마도 당신의 신경계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서일 거예요. 제자리뛰기나 걷기, 특히 눈 감고 걷기 같은 행동들은 우리 몸의 균형 감각과 협응 능력을 확인하는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검사 방법들이에요. 눈을 감았을 때 걷기가 어려우시다고 하셨는데, 이런 반응은 전정기관이나 소뇌와 관련된 문제일 수 있어요.
떨림이나 균형 잡기 어려움, 그리고 눈 감고 걸을 때의 불안정함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올 수 있어요. 내이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뇌의 특정 부위에 이상이 있을 수 있죠. 그래서 의사 선생님께서 뇌 MRI를 제안하신 것 같아요. MRI로 뇌의 구조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거든요. 걱정되시겠지만,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게 제대로 된 치료의 첫걸음이에요.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불안해하지 마시고,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의사 선생님께 꼭 여쭤보세요. 힘내세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의사 선생님이 그런 동작들을 시킨 건 균형 감각이랑 신경계 기능을 확인하려는 거예요. 눈 감고 걷기는 전정기관이랑 소뇌 기능을 보는 거죠. 당신이 눈 감고 걷기 힘들어한 건 어지럼증이나 균형 장애 가능성을 시사해요. 비틀거리는 것도 그런 증상이고요. MRI 찍자고 한 건 뇌 쪽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려는 거예요. 뇌졸중이나 종양 같은 걸 배제하려는 거죠. 하지만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정확한 진단은 검사 결과 봐야 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