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영양제
경구피임약 효과가 떨어지는 약에 대해 원리가 궁금해요
성별
여성
나이대
22
복용중인 약
경구피임약
경구피임약 효과를 떨어뜨리는 약의 차이가 궁금해요!
병원에서 항생제 처방 받아 먹을 때 먹는 동안 경구피임약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니 이중피임 하라고 하시던데, 항생제 다 먹으면 바로 다시 피임 확률은 돌아온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럼 이땐 배란이 될 수도 있단 건지, 아니면 질내 점성?이 달라지는 그게 영향을 받는 건지 궁금해요. 어떤 원리로 다시 피임률이 올라가고 돌아오게 되나요?
정신과약은 보통 오래 먹어서 실패할 확률이 더 높은 건가요? 아니면 정신과 약이 호르몬약이라 그런 건가요?
정신과약 복용하며 경구피임약 먹었는데 배란되어 임신한 지인을 봐서요ㅠ
둘의 차이가 뭔가요? 괜히 항생제 먹는 것도 불안해져요… 경구피임약과 한생제 모두 올바른 복용법으로 먹으면 괜찮은 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피임효과를 떨어뜨리는 약의 경우 1주차에 복용하신다면 배란을 억제할 수 없습니다.
정신과약 중에서도 몇가지가 영향을 미치는 약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항생제를 복용하는 동안에 설사같은 증상으로 인해서 피임약의 장간순환이 잘 안되는 경우에는 혈중농도가 떨어지면서 배란될 가능성이 있어서 조심하라는 것입니다.
설사가 없다면 리팜핀을 제외한 다른 항생제는 피임효과를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정신과약은 어떤 약인지 정확히 올려주셔야 확인이 가능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경구피임약도 약이므로 몸에서 분해되려면 효소가 필요해요 이 효소를 과도하게활성화시키면 분해가 빨리되어서 효과가 없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