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신대부적오함마
신대부적오함마23.04.08

조선시대 좌의정, 우의정,영의정이란 직급은 어떤일을 했었나요?

조선시대에 직급을 보면 좌의정, 우의정,영의정이라는 직급이 있던데요. 이러한 직급들은 어떠한 일들을 했었나요? 그리고 요즘으로 치면 어떤 직급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영의정은 조선시대 의정부의 으뜸 벼슬인 영사로 품계는 정1품이고 관원의 자급은 대광보국숭록대부이며 정원은 1인입니다. 조선의 관제에서 총리에 해당하고 영상이라고도 하며 좌의정 및 우의정과 아울러 삼정승이라고도 합니다.

    좌의정은 의정부의 관직으로 품계는 정1품이고 관원의 지급은 대광보국숭록대부이며 정원은 1인입니다. 영경연사와 감춘추관사를 겸하고 좌상이라고도 하며 영의정, 우의정과 더불어 삼정승의 하나지요. 삼정승의 품계는 동일하지만 특배가 아닐 경우 우의정 → 좌의정 → 영의정 순으로 승진합니다.

    우의정은 의정부의 관직으로 품계는 정1품이고 관원의 자급은 대광보국숭록대부이며 정원은 1인입니다. 영경연사와 감춘추관사를 겸하고 우상이라고도 하며 삼정승 중 세 번째에 해당합니다.

    굳이 따지자면 영의정과 좌의정의 관계는 고려 말 잠깐 나타났던 문하시중과 문하수시중의 관계와 그나마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으며 판이조사라 하지만 6조의 이조호조예조의 관리를 감독합니다.

    현재의 직급과 비교하자면 영의정은 국무총리이고,

    좌의정, 우의정은 부총리에 해당한다고보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좌의정, 우의정, 영의정은 모두 왕실에서 근무하는 관직으로, 각각 다른 역할을 맡았습니다.


    - 좌의정: 왕의 왼쪽에 위치하며, 왕이 집무하는데 필요한 문서 작성과 검토, 왕의 명을 받아 폐하에게 전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 우의정: 왕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왕이 외출할 때 전달할 내용이나 문서 등을 챙기는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또한, 왕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도 맡았습니다.


    - 영의정: 왕의 명으로 군사 작전을 수행하거나, 중요한 사건이나 재난 발생 시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이들 관직은 모두 왕실의 중요한 업무를 담당하며, 왕의 효율적인 통치를 돕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관직이 있었으며, 각각의 관직이 담당하는 업무는 그 시대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좌의정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속하여 백관을 통솔하고 일반 정치 및 외교의 일을 맡아 하던 정일품 벼슬입니다.

    지금으로는 국회의원급 관료들을 통솔하고 장관 총리급 인사청문회를 주도하고 직권상정하는 국회의장,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입니다.

    영의정은 원로이자 조정 영수라는 명목을 가지고있었지만 정치 운영에 필수적인 담당 실무가 적었습니다.

    지금의 국무총리 정도입니다.

    우의정은 지금의 대법원장으로 볼수있는데, 판병조사를 겸직하고 의금부나 포도청이나 형조가 죄인을 추국하거나 체포하거나 전옥서의 감독 할때 병조의군사를 써야하고 관리와 감독을 받아야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의정은 조정의 국정을 총괄하는 자리이기에 지금의 총리 혹은 부통령의 자리이고 , 좌의정은 조정의 다수파를 대표하는 자리이며 좌의정은 대개 우의정을 역임한 원로대신으로 임명하였다고 합니다. 굳이 비교 하자면 국가 최고 원로 회의 자문 위원장 정도에 해당 하며 그리고 영의정·우의정과 함께 삼공(三公)으로서 국왕을 보좌하면서 백관을 통솔, 우의정은 병조, 군부의 병권과 형조의 사법권과 삼사의 대간, 옥당 등을 감독하는 자리이기에 국방부 장관과 법무부 장관, 그리고 검찰 총장을 겸임해 논 자리에 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