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닭살이 돋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나나오입니다.
깜짝 놀라거나 무서운 장면을 봣거나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닭살이 돋던데
닭살이 돋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춥거나 무서운 상황에서 몸에 닭살이 돋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춥거나 무서울 때면 의지와 상관없이 피부에 작은 돌기들이 솟아나는데 이를 흔히 '소름 돋는다' 또는 '닭살 돋는다'고 표현합니다. 우리 몸이 차가운 기운을 느끼면 생명에 위협을 감지한 뇌가 교감신경 스위치를 켜고, 교감신경이 작동하면 몸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는데, 그 중 하나가 체온 상승입니다. 체온을 높이기 위해 피부에서는 털 주위의 미세근육(입모근)이 수축하는데 이 근육이 수축하면 털 주위의 피부가 솟아오르고, 털이 곧게 서게 됩니다. 털이 곧게 서 촘촘해지면 공기와 피부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체온이 손실되지 않도록 잡아두며 동시에 모공이 좁아져 열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공포에 질렸을 때도 소름이 돋는데, 마찬가지 이유로 생명에 위협을 느낀 뇌가 교감신경을 작동시켜 인체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추위나 무서운 상황에서는 우리 신경계가 반응하여 근육 주변의 작은 털을 세워주는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이로 인해 털이 세워지면서 피부의 모양이 울퉁불퉁해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간과 같은 항온 동물은 항상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몸의 상태를 바꾸곤 합니다. 갑자기 추워졌을때 닭살이 돋는 이유는 모낭 주위의 근육이 수축하여 빠져나가는 체온을 억제하기 위함입니다.
닭살이 돋는 이유는 신체의 방어 기전 중 하나로, 피부에 있는 작은 근육들이 수축하여 털을 세우기 때문입니다. 이는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거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몸을 부풀려 보이려는 본능적인 반응입니다. 사람에게는 털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 반응이 눈에 띄지 않지만, 털이 많은 동물에게는 털을 세워 체온을 유지하거나 위협을 느꼈을 때 더 커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놀라거나 공포스러운 때 피부에 닭살이 돋는 현상은 우리 몸의 생리적 반응 중 하나입니다.
간단하게 말해 이러한 반응은 자극에 대한 대비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깜짝 놀라거나 무서움을 느낄 때는 뇌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과 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혈액 순환을 가속하고, 피부의 혈관이 수축하면서 피부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해 피부의 세포들이 단단하게 모여서 닭살로 보이게 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피부 주변의 작은 근육인 섬모근이 수축하여 피부 주변이 주름진 모양이 되어 닭살이 돋는 것처럼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추위나 공포를 감지하면 우리 몸의 교감신경이 활성화 되고 입모근이 수축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피부가 털 주위로 솟아올라 닭살이 돋는 거처럼 느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