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는 먹는 거 못 먹는 거를 분별할 수 있나요?
제가 한번씩 걱정이 되는게 강아지한테 장난감을 주면 장난감을 다 뜯어 버리는데요 그런데 먹을까 봐 걱정이 되는데 먹을 거 안 먹을 거 분별을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도 상당한 인지 능력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알수 있어요
평소에 먹는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새로운 맛이라든지 향이난다던지 하면 찡그리거나 멀찍이 피한다거나 해서 잘 다가가지 않습니다
또 훈련을 잘ㅇ받은 강아지일수록 주인이 주는 것 왜에 잘 먹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아 수의사입니다.
먹는 것과 못 먹는 것을 강아지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다 뜯어버려도 보통은 먹지 않죠. 하지만 실수로 삼킬 수 있으니 너무 뜯어버린다면 장난감을 주지 않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또는 이식증이 있는 경우에는 아무거나 삼킬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예찬 수의사입니다.
대부분 구별을 하긴 하지만 간혹 식탐이 강한 강아지거나 밥시간이 지나서 배가 고픈 애들은 간혹 삼켜버리긴 합니다. 작은 이물의 경우 정말 운이 좋으면 그대로 변으로 나오긴 하지만... 장을 타고 내려오지 않고 위장과 십이지장 조임근에서 정체를 해버리거나 회장에서 맹장으로 넘어가는 조임근에 막혀버리는 경우 혹은 장 어디서든 이물에 의한 장 폐쇄는 반사적으로 구토나 설사를 유발 합니다.
강아지 양상 잘 보시고 구토나 설사 너무 많이 하는 경우 방사선이나 초음파로 확인 하셔서 필요하다면 수술 혹은 입원치료하면서 수액맞으면서 지켜보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강아지의 성격, 나이, 종, 기분상태 등 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강아지들에게 먹어서는 위험한 장난감은 주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강아지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호기심이나 실수로 삼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강아지들이 장난감을 물거나 뜯으면서 내용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강아지와 놀때는 시선을 계속해서 관찰 해주어야합니다. 하지만, 매번 관찰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튼튼하거나 뜯김이 덜한 강아지용 장난감을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쉽게 터지지 않는 밧줄 재질 (터그놀이용) 등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들마다 다릅니다.
어떤 친구들은 철저하게 잘 구분하고 어떤 친구들은 일단 먹고 보는 친구들도 많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