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

운전 중 정차시 기어를 꼭 중립으로 놔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운전면허증 딸때 주행중 정차 했을때 기어를 중립으로 놓으라고 배웠습니다.

기어를 중립으로 놔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별 차이 없을 것 같은데 그냥 D에 놓고 브레이크 밟고 있으면 안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덕망있는불독137
    덕망있는불독137

    안녕하세요. 덕망있는불독137입니다.

    신호대기나 잠시 정차를 할때에 중립으로 하면 연료는 절감이 되는 효과를 나타 낼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봤을때는 매우 소량이 절감 되는 것이고 자주 기어 변속이 일어나게 되면 오히려 연비 높이고 연료를 절감하려다가 오토트랜스미션 내구성저하의 요인이 될수 있어 나중에 결함을 일으키면 교체나 수리비용이 크게 소요되어 연료 절감효과 보다 손실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대기 시간이 짧으면 굳이 중립으로 하지 않아도 큰영향이 있는건 아니라고 하니 어떤것이 좋을지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장구통쓰앵님입니다.

    정차시 기어를 중립에 넣으라는 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거나 할 수 있기때문에 안전의 이유로 중립에 놓으라는 게 이유인듯합니다

    정답은 없죠 다만 중립에 놓을때와 다시 주행으로 옮길때 천천히 여유있게 기어에 무리가 가지않게 하는게 더 중요할듯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찐한에스프레소입니다.

    기어를 중립에 넣으라는 것은 연비와 각종유해물질이 저감된다는 점 또한 중립에 넣으면 차가 드라이브에 기어가 물리지 않기 때문에 혹시나 잘못해서 밟았을시에 차가 앞으로 나가는걸 방지등의 의미가 있다 봅니다.

    하지만 연비또한 정차시에는 5분이 넘는경우가 아니면 오히려 중립으로 바꾸는게 연비가 더 나간다는 의견들이 많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이구요

    그리고 또한 요즘 옵션으로 정차시 자동 꺼짐 기능이 들어거 있기에 5분이 넘지않는 경우 연비를 아낀다는 생각이면 비추고 연비를 아낄겸 안전성을 고려하면 중립으로 한다 정도로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렬한멧토끼285입니다.

    수동일때 버릇이 있어서 그럽니다.

    오토일 경우는 D에 놔두고 브레이크를 밟고 있어도 괜찮습니다. 다만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게 다리에 계속 피로도를 주고, 혹시 다른행동을 하고 있을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는 순간 차가 움직여서)는 단점이 있죠.

  • 안녕하세요. 반가운무당벌레10입니다.

    신호대기 시 중립을 할때는 드라이브로 해 놓을 때보다

    연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해요 더불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고 해서 저도 정차시 중립을 하고 있어요

  • 굳이 중립으로 바꾸지 않아도 됩니다.

    잦은 기어변속은 미션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오토스탑 기능이 있다면 활용해보세요. 운전이 많이 편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얄쌍한왜가리259입니다.

    스틱에 경우 계속 기어를 넣어놓고 있으면

    클러치 베어링 수명이 짧아집니다

    오토에 경우, 교차로 신호 1분 20여초~3분..

    장기간 운전하는 분들은 발(바닥, 무릎) 아픕니다

    그래서 중립에 싸이드 많이 잡습니다

    시내버스 기사님들..

    신호 걸리면 치이익하고 에어브레이크 처우죠

    그래서 그럽니다

    꼭 중립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해숙입니다.

    운전중 정차시 기어를 중립으로 놓는 이유중 가장큰 이유는 연료절감으로 꼽는데요. 정차시 연료절감효과가 38%나 있다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실험결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선량한황여새99입니다.

    결론은...상황에 맞게 조작하시면 됩니다!

    설명을 드리자면

    정차시 기어를 중립(이하'N')으로 두면 약 20프로 정도 연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통계가 있는데요

    반면에 자주 기어변속을 할경우 미션( 오토메틱 트렌스미션) 내구성을 저하시키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3분이상 정차하는 경우가 아닐경우 기어를 D 로 두셔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도덕적인메추라기260입니다.

    기본적으로 차량의 공연비는 주행과 정차모드를 합쳐

    평균값으로 L당 평균 주행거리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기본 평균값에는 정차중 중립모드에서

    가장 적은 연비가 나오기에 션비 절감효과를 보실수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똘똘한콘도르270입니다.

    운전중 신호대기나 정차시에 N단으로 바꾸라는 것은 그냥 강사님의

    의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각의 상황에 장단점이 있습니다.

    1. 정차중 D : N단으로 변경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변속기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연비가 아주 소량 좋지 않다.

    2. 정차중 N : 혹여나 정차중 브레이크에서 발이 떨어졌을때 평지 일 경우 차가 움직이지 않는다. 연비가 아주 소량 좋아진다. 변속기에 좋지 않다.

    N단으로 바꾸라는 대부분의 분들은 연비를 이야기 하실텐데, 사실 그 효과가 엄청 미미합니다.

    운전자의 선택이겠지만 저는 D단 정차를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대담한검은꼬리83입니다.

    와....

    제상식에 어긋나는 가르침이네요...

    오토차령은 정차시 즉 브렉키로 차가 멈추면 차가 알아서 중립상태가 되요

    그걸 일부러 중립에 놓고 출발할 다시 D로 넣고

    가는건 참 쓸데없는 일인듯.....

    옛날 스틱으로 시험볼 때나 중립에 놓으라고 했지

    오토차량에 잠시 차가 멈췄을 때 중립에 넣으라면

    멱살 한번 잡고싶네요....

    시험자가 좀 오래 정차한다는걸 가정하고

    테스트를 위한 거라면 즉 시험용 시ㅠㄹ레이션 상태라면 몰라도

    실제 정차할 때 그렇게 하라고 하면

    난 노 라고 할겁니다.ㅡ..ㅡ

  • 안녕하세요. 윤재빵야빵야입니다.

    D에 두고 있으면 기어가 엔진에 장착되어 엔진이 돌아갑니다.

    그렇게 되면 불필요한 연소를 하게 되면서 매연이 나오고 환경오염에 좋지 않습니다.

    중립으로 넣으면 기어가 엔진에서 빠지게 되면서

    엔진은 그냥 시동 걸어둔 상태로만 유지 되어 위 현상이 안 일어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