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이 이미지는 심장의 관상동맥 상태를 보여주는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m, CAG) 결과입니다.
"Dg Os focal 95% stenosis"는 특정 부위(diagonal ostium)에 95% 협착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혈관의 지름이 정상보다 95% 줄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심각한 협착으로, 혈류를 매우 제한할 수 있습니다.
"dLCX"에서 "d"는 보통 "distal"을 의미하며, 혈관의 가장 먼쪽 부분을 나타냅니다. "LCX"는 "Left Circumflex artery"의 약자로, 심장의 좌측을 둘러가는 관상동맥을 말합니다. 따라서 "dLCX"는 좌측 회선 동맥의 먼쪽 부분을 가리키며, 이 부분에서 70%의 협착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LAD-Dg"에서 "LAD"는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의 약자로, 심장의 전면을 내려가는 주요 관상동맥을 말합니다. "Dg"는 보통 "Diagonal branch"를 의미하는데, 이는 LAD에서 분기되는 부수적인 혈관을 말합니다. 결과에서는 LAD에 이전에 설치된 스텐트가 있으며 특별한 문제가 없음(patency, 즉 개통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의미)을 나타냅니다.
결론 부분에서는 "Successful PCI at RI"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의 약자로, "RI"는 "Right Coronary Artery"를 의미합니다. "Genoss 2.5x20 DCB and LCX Onyx 2.75x15 DES"는 사용된 스텐트의 종류와 크기를 나타냅니다. DCB는 "Drug-Coated Balloon"을, DES는 "Drug-Eluting Stent"를 의미하며, 이들은 혈관 내에 약물을 방출하여 혈관이 다시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 기기입니다.
요약하면, 이 환자는 세 개의 주요 관상동맥 모두에서 협착을 겪고 있으며(3-vessel disease), 이미 시행된 스텐트가 있는 LAD를 포함해 LCX와 RI에서도 협착이 있음이 관찰되었습니다.
RI에서는 성공적으로 PCI를 시행하여 협착을 치료하였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