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갸름한왕나비141
갸름한왕나비141

회사에서 수입업무하면서 발생된비용인데 자주있는 내용은 아닌듯하고 EBS,CRS,PSS이3가지가 어떤내용인지궁금합니다

회사에서 수입업무하면서 발생된비용인데 자주있는 내용은 아닌듯하고 EBS,CRS,PSS이3가지가 어떤내용인지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EBS(Emergent Bunker Surcharge)는 긴급 유류할증료를 말합니다. 선사측에서 유가변동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유동적으로 유류할증료가 붙을 수 있는데, 그에 대한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CRS(Container Recovery Surcharge)는 컨테이너 보존 수수료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이는데, 해당 비용은 해상운임이 낮을 경우 운임 보전명목으로 청구하는 비용입니다.

      성수기할증료 (PSS, Peak Season Surcharge)는 성수기 물량 증가로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및 항만의 혼잡 심화에 따른 비용 상승에 대한 할증료를 말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1. EBS

      : Emergent Bunker Surcharge의 약자로 운송 중 생기는 유가 변동에 따른 손실에 대한 비용을 말합니다.

      2. CRS

      : Container Recovery Surcharge의 약자로 유가 상승, 컨테이너의 수급 불균형 등의 이유로 운송사의 운임 보존 목적으로 부과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3. PSS

      : Peak Season Surcharge의 약자로 물동량 성수기때 발생하는 화물의 할증료를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EBS

      EBS [Emergency Bunker Surcharge] - 긴급유류할증료선박 운항 중 생기는 유가변동에 따른 손실, CAF, BAF 랑 같은 개념

      2. CRS

      CRS [Cost Recovery Surcharge] , 수입물품을 운송계약에 따라 운송하는 때에는 해당 운송계약에 기초한 해당 운송의 대가로서 운송인 또는 운송주선인 등에게 최종적으로 지급한 금액

      3. PSS

      성수기할증료 (PSS : Peak Season Surcharge), 성수기할증료 (PSS)는 해상 운임에서 발생하는 할증료의 하나로, 성수기 물량 증가로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및 항만의 혼잡 심화에 따른 비용 상승에 대한 할증료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EBS - Emergency Bunker Surcharge로 긴급유류할증료입니다.

      CRS - CRS [Cost Recovery Surcharge]은 운임회복비용으로 예기치못한 추가비용 발생시 요구하는 비용입니다.

      PSS - 성수기할증료 (PSS)는 해상 운임에서 발생하는 할증료의 하나로, 성수기 물량 증가로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및 항만의 혼잡 심화에 따른 비용 상승에 대한 할증료를 뜻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EBS는 Emergency Bunker Surcharge의 약어입니다. 긴급유류할증료를 말하며, 전쟁 등 예상하지 못했던 사유로 인해 유가가 폭등하였을 때, 선사에서 변동 폭에 대해 추가로 부과하는 할증료를 의미합니다.


      CRS는 Cost Recovery Surcharge의 약어입니다. 운임보전료를 말하며, 유류비나 항만물류비가 증가하는 경우 선사에서 부과하는 비용입니다.


      PSS는 Peak Season Surcharge의 약어입니다. 성수기할증료를 말하며, 성수기에는 물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선사에서는 컨테이너, 선박스페이스 수급 불균형 및 항만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장비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하게 되는데, 항만의 처리 물량 증가로 인한 비용 상승 부분을 화주에 전가시키는 것입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EBS는 Emergency Bunker Surcharge의 약자로, 유가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보상하기 위해 선사들이 부과하는 추가 요금입니다.

      CRS는 Currency Risk Surcharge의 약자로,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선사들이 부과하는 추가 요금입니다.

      PSS는 Peak Season Surcharge의 약자로, 성수기에 발생하는 물류 수요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분을 보상하기 위해 선사들이 부과하는 추가 요금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EBS(Emergency Bunker Surcharge) : 긴급 유가 할증료로서 전쟁 및 산유국의 담합 등의 이유로 유가가 평상시보다 급등하였을 때 그 변동폭만큼 선사들이 협정을 맺어 부과할 수 있는 할증료입니다.



      CRS(Container Recovery Surcharge) : 컨테이너 보존 수수료로서 해상운임이 낮을경우 운임 보전명목으로 청구하는 비용팁니다.



      PSS(Peak Season Surcharge) : 성수기할증료로서 성수기에 추가로 부과되는 할증료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