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조선시대에서 도축을 위한 소도 길렀나요?

조선시대에서는 소가 농부의 일을 도와주는 역할로 매우 큰 자산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축을 위한 소도 길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조선 숙종 2년(1676)

      1월 14일 생활상을 기록한 내용은 당시

      나라에서 도축하는 소는 하루에 1천 마리를

      넘었다고 합니다. 이후 조선은 병자호란을

      치른 뒤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매일

      1천여 마리의 소를 도축하였다고 합니다.

      연간 도살되는 소가 40만 마리에 가까웠을

      것이기에, 기르고 있는 소는 몇 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으니 100만 마리는 족히 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가 농우로서의 사용가치가 컸으므로 식용을 위해 사육되지는 않았습니다.

      조선소는 대게 3세~8,8세까지 사역 후 육용으로 판매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