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br과 같은 삽입성 물질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도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인 삽입성 물질의 예시로 Etbr이 있는데 이와 같은 물질이 DNA에 삽입되었을 때 어떠한 방식으로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etnr같은 삽입성 물질은 염기 사이에끼어드는 평면 구조로 dna 이중가닥의 간격을 벌린답니다
일 ㅗ인해 복제시 dna 중합효소가 염기를 잘못 삽입, 누락해 염기 삽입, 결실 돌연변이가 생길수 있답니다.
EtBr과 같은 삽입성 물질은 DNA 이중 나선 사이에 끼어들어 DNA 복제 및 전사 과정에 오류를 일으키며 돌연변이를 유발하게 됩니다.
즉, 삽입성 물질은 DNA 염기쌍과 유사한 평평하고 넓은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분자들은 DNA의 이중 나선 구조가 벌어진 틈으로 들어가 인접한 염기쌍 사이에 끼어들어 자리 잡습니다. 이렇게 삽입된 물질은 DNA 구조를 변형시키고 왜곡시키고 결국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Etbr과 같은 평면 구조의 분자는 디엔에이 이중나선 구조의 염기쌍 사이에 물리적으로 끼어들어 나선 구조를 왜곡시킵니다. 이로 인해 디엔에이 복제가 일어날 때 복제 효소가 염기를 잘못 추가하거나 빠뜨리는 오류를 일으켜, 결국 염기의 삽입 또는 결실을 통한 유전암호 해독틀 이동 돌연변이를 유발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EtBr은 삽입성 물질로 DNA 상에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EtBr은 평평한 다환 방향족 고리 구조를 가진 분자인데요, 이런 구조 때문에 DNA의 이중나선 사이의 염기쌍 사이에 끼어 들어갈 수 있으며 쉽게 말하면, EtBr은 DNA의 염기쌍 사이 공간에 끼어들어 DNA 구조를 벌리거나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원래 DNA가 복제될 때, DNA 중합효소는 원래 염기쌍 규칙을 따라 새로운 가닥을 합성하는데요, 삽입성 물질이 DNA 사이에 끼어들면 DNA 가닥이 늘어나거나 꼬임이 생기면서 DNA 중합효소가 정확히 읽기 어려워지며 중합 과정에서 한 염기가 빠지거나, 한 염기가 추가되는 삽입이나 결실이 발생 가능합니다. 이러한 삽입이나 결실은 프레임 이동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단백질 번역에서 코돈의 읽는 틀이 바뀌어 비정상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EtBr 은 Intercalating agent로 추후 복제가 일어날때, DNA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구조가 뒤틀려지면서, 복제시 오류가 발생한답니다.
삽입, 결실, 및 Frame shift mutation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