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고금리와 신흥국 자본 유출 위험은 어떻게 되나요
미국과 유럽의 금리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신흥국에서 자본이 빠져나가 경제 위기가 올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은 이런 위험에서 비교적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글로벌 고금리와 신흥국 자본 유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은 신흥국이 아닌 선진국이기에 자본 유출은 덜할 수 있지만
신흥국들은 자본이 유출되어서 고금리를 주는 선진국으로
옮겨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고금리가 지속되면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쫓아 자본을 철수할 위험이 있으며, 특히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아 자본 유출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고금리가 장기화되면 신흥국에서는 자본이 선진국으로 유출되며 통화가치 하락, 외채 부담 증가 등 금융 불안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외환보유액이 부족하거나 경상수지 적자가 큰 국가들은 위험에 노출됩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외환보유액이 충분하고, 대외신인도도 높아 급격한 자본 유출 가능성은 낮지만, 미국과 금리 차가 장기간 벌어질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해당 위험이 지속된지 2년이 넘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금리가 미국 보다 높게 유지가 되어야 환율과 자산시장의
균형이 맞습니다
그러나 2년넘게 금리가 미국이 더 높은 상황을 유지하다보니 자산이 미국으로 이미
많이 유출된 상황이고 이로 인하여 환율도 크게 상승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전통적인 신흥국보다는 상당히 안전한 위치에 있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의 연쇄 반응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는 중간지대에 있다고 보셔야합니다.
즉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은 단순한 금리 차이가 아닌 위험 조정 수익률에 의해 결정되며 즉 구체적으로 투자 매력도=현지 금리+기대 환율 수익률−위험 프리미엄이라는 공식으로 볼 수 있고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보다 훨씬 벌어지고 있지만 이 차이만으로 자동적으로 자본이 유출되는 것은 아니며 환율 변동 기대, 정치적 안정성, 경제 펀더멘털이 종합적으로 고려되는것으로 보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가 높을수록, 신흥국 자금은 달러 자산으로 이동해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외환 위기 위험이 커집니다.
한국은 외환 보유액이 충분하고 대외 신용등급이 높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급격한 환율 변동 시 수입 물가 상승 등 실물경제 부담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 고금리(미국 Fed 4.5~5%, ECB 3.5% 예상) 지속될 경우 신흥국(EM) 자본 유출 위험이 커집니다.
2025년 EM 성장률 3.8%로 둔화, 자본 유입 $71B 감소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책 불확실성으로 채권·주식 유출 압박, 불확실성 충격이 환율·성장 타격 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EM 중 비교적 안전합니다.
외환 보유고 4,200억 달러로 환율 안정, 미·한 환율 조작 금지 합의로 자본 유출 완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만 무역 의존(수출 40%)으로 US 관세 충격 시 성장률 1.8%로 떨어짐으로 원화약세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