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누리함
누리함23.04.16

새마을금고 파산 위험 부도설이 돌고 있는데, 부동산 PF 대출이 무엇인가요?

새마을금고 파산 위험 부도설이 돌고 있는데, 부동산 PF 대출이 무엇인가요?

고금리 상황 속 건설사가 무너져서 도미노처럼 은행도 파산한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PF대출이라는 것은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라고 하며 쉽게 생각하면 건설사가 건물을 짓기 위해서 필요한 자금을 은행으로부터 빌리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PF대출에 대해서 건설사들이 은행으로 요청을 하게 되는 경우에 은행은 PF대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것을 검토하게 됩니다.

    1.시공사의 시공 능력
    2.시공사의 자본 금액
    3.시공사의 신용 등급
    4.시공사의 네임 밸류

    위의 와 같은 내용들을 검토하게 되는 이유는 시공사가 부지를 매입하고 건설을 하기 위한 PF대출을 받게 되면 시공사가 PF대출금액 외에도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금액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는지, 그리고 시공 중간에 부실이 나지 않고 끝까지 건설을 할 능력이 있는지, 향후 건물이 준공되었을시에 분양이 활발히 이루어져 PF대출을 상환할 가능성이 높은지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PF대출의 경우에는 보통 아파트의 경우 최소 500억원에서 최대 수천억원을 검토하는 것이다 보니 은행의 지점이 아니고 본점 부서에서 따로 진행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시공사가 네임밸류가 낮거나 자본이 적거나 혹은 신용등급이 낮은 경우는 1금융권에서 지원이 불가하여 2금융권인 캐피탈이나 저축은행, 카드여신사를 찾아가서 PF대출을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PF대출을 통해서 건설사가 건물을 준공하게 되면 이 건물을 분양을 해서 PF대출을 상환하게 되는 것인데 최근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분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건설사들은 PF대출을 상환하지 못하고 이자만 내면서 점점 자금이 부족해지고 연체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있어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F란 사업주로부터 분리된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자금조달에 있어서 자금 제공자들은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을 우선 고려해 대출을 결정하고

    프로젝트에 투자한 원금과 그에 대한 수익을 돌려받는 자금구조입니다.

    부동산 등에 미리 자금을 조달하고 추후에 이것이 완성되어서 원금과 수익을 돌려받는 것으로

    금융당국에서는 새마을금고의 PF 대출이 아직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하였은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