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특출난향고래35
특출난향고래35

특정 사물에 집착을 하는데 발달에 문제가 있나요?

32개월 남아를 둔 아빠입니다.

저희 아이는 1년전부터 외출하면 실외기 와 미용실 싸인볼만 보면 한참을 처다보며 '뺑글뺑글 돌아간다' 하면서 한참을 처다보며 가질 않습니다.

실외기는 너무 쳐다보며 가질 않아서 저는 '안돌아간다. 이제가자~~'고 하니 저희아이는 실외기만 보면 '안돌아가요' 하면서 계속 보고있어요.

저희 아이가 발달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참고로 저희 아이는 고집도 쎄고 걷는걸 좋아해서 한번 나가면 자기만의 길로 꼭 가야 집에 들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특정 사물에 집착하는 현상은 아이가 부모 품을 떠나 세상 밖으로 나오는 과정에서 보이는 과도기적 행동으로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성장과정에서 흔히 경험하는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사물에 집착하는 아이에게 최악의 처방은 아이의 행동을 비난하거나 애착 대상을 숨기거나 빼앗는 행동입니다. 아이 스스로 표현하기 힘든 감정을 부모가 읽어주고 공감해주면서 사물에게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특정사물에 집착하는 아이의 경우는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충분한 애정을 받지 못한다 라고 생각할 때 특정사물에 집착하게 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그렇기에 아이와 교감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져야 하며 이야기를 할 때는 눈을 마주치고 놀이를 통해 함께 즐거운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아이의 신호의 민감하게 반응하고 일관된 행동유지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나 아이가 만6세가 지났는데도 특정물건의 집착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병원의 문의하여 상담을 받아보셔야 합닏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돌아가는 것에 관심을 보이면 그에 관련된 책을 준비해 주면 어떨까요?

      한 친구가 바퀴 모양만 하루종일 그리고 그려달라하고 영상으로도 보여달라해서 귀찮아서 다양한 장난감 차를 준비해 주었더니 아이가 너무나 좋아했다고 합니다.

      그리곤 차 뿐 만이 아니라 그와 관련된 교통기관 들에 대해서도 흥미로워 했다고 하니 아이의 관심사를 넓혀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현재의 시기 아이들에게서는 호기심이 강하게 생겨납니다.

      특정 물건이 신기해 보이는 것은 매우 당연한 행동이에요.

      예를 들면 어떤 아이는 중장비, 집게차 같은 것에 집착하기도 하고요

      가정에서 켜 놓은 가습기의 수증기가 신기해 오랜 시간 쳐다 보는 아이도 있다고 해요.

      왜 그런 것인지 무엇에 사용하는 것인지 정도 가볍게 설명해 주시고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나아질 거에요. 크게 의미 안두셔도 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하나의 물건을 고집하는것을 '집착'이라고 합니다. 이런 '집착'은 3~4세에 절정을 이루고 5세나 6세정도에 사그라듭니다. 그 물건이 주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아이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위안의 대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집착을 보이는 물건의 종류는 다양하기에 크게 걱정을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

      인터넷이 발달하고 육아 상식이 넘쳐나면서

      한참 발달한 2-4세 아이의 보호자분들은

      한번씩은 꼭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걱정을 하시는 듯 합니다.

      자폐 스펙트럼의 여러 증상 중

      특정한 것에 대한 편집에 가까운 집착이란 증상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증상은 <소통의 장애>입니다.

      즉, 아이에게 부모님은 절대적인 애착 관계의 존재인데

      이런 부모님의 사랑을 충분히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눈도 잦 맞추지 않는다든지

      부모님이 갑자기 눈에 보이지 않아도 전혀 불안한 기색이 없다든지 하는 것이

      주된 증상입니다.

      만약 이러한 애착관계가 불안정하게 느껴지신다면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셔서 자세한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