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8

야구에서 투수가 타자 몸쪽으로 공을 던지는 이유?

메이저리그를 보면 투수가 타자의 몸에 공을 맞추거나 몸 가까이에 공을 던져서 싸움이 나기도 하더라구요. 근데 투수가 이런 공을 던지는 이유가 의문이어서요

공이 타자한테 맞으면 걸어서 출루, 아님 맞지 않더라도 타자 몸쪽으로 날아가면 스트라잌이 아니라 볼 카운트가 올라가지 않나요? 투수가 좋을것이 없는데 왜 이런 공을 던지는건가요?

해설이 말하는걸 들어보면 고의로 던지는거같이 들려서 한번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깍듯한듀공160
    깍듯한듀공16022.11.08

    몸쪽으로 던져야지 타자들 이쫄게되져

    그렇게되면 바깥쪽 꽉찬볼 던지게되면 거리가 멀어보이면서

    삼진 유도에좋습니다 그리고 몸쪽공 치기가어려워서 던질수도있습니다


  • 저도 확실하지는 않아요 위협적인거도있고 바깥쪽으로 던지기위해서 일부러 안쪽 위협구를 던지는 경우도 있어요 안녕하세요. 탁월한코브라21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대부적오함마입니다.

    제생각에는 바깥쪽을 계속 던지다가 몸쪽을 휙 던져버리면 타자가 미쳐 대응을 못하기때문인거 같습니다. 바깥쪽공에만 컨택을 마추고 있는데 갑자기 몸쪽으로오면 대응을 못하죠. 그리고 몸쪽으로 바짝붙은 공을 던지면 사람심리상 자신이 맞을거같아서 살짝 피하게됩니다. 그 공이 스트라이크존 꽉차게 들어가면 대응도 못하고 삼진아웃이 될수도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