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사람이 직립보행 하도록 진화한 이유는 뭔가요?

생태계를 봤을 때 직립보행을 하는 생물은 인간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유인원도 직립보행이 가능하지만 손까지 쓰며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람이 직립보행 하도록 진화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직립보행은 두손을 자유롭게 해 도구 사용, 운반을 가능케 하고, 에너지 효율적 장거리 이동과 넓은 시야 확보에 유리했기 때문으로 추정 된답니다.

  • 사실 이유를 명확히 하기는 어렵지만, 결론적으로는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조상은 원래 숲에 살며 네 발로 이동했습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해 숲이 줄어들고 초원이 확대되면서, 생존을 위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 직립보행을 통해 포식자를 먼저 발견하고 피하거나 먹이를 찾는데 좀 더 유리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직립보행을 통해 앞발이 손으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도구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도구 사용으로 이어졌으며 뇌 용량 증가와 언어 발달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직립보행은 단순히 이동 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생존, 도구 사용, 사회성 발달 등 여러 진화적 이점을 가지며, 현재의 인간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지구 생태계에서 완전히 직립보행을 하는 생물은 인간뿐이고, 이는 인류 진화의 핵심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약 600~700만 년 전 아프리카의 기후가 건조해지면서 숲이 줄고 초원(사바나)이 확장되었습니다. 당시 초기 인류였던 호미닌은 나무 위 생활과 지상 생활을 병행했는데, 개방된 초원 환경에서 생존하려면 기존의 네 발 보행행의 유인원식보다 다른 방식이 유리해졌습니다. 이때 자연선택이 직립보행을 점차 강화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직립 자세는 초원에서 멀리 바라볼 수 있게 하는데요, 이는 포식자를 조기에 발견하거나 먹이를 탐색하는 데 유리했으며 기린처럼 목을 길게 늘린 종과 비슷하게, 인간은 몸을 세움으로써 넓은 시야를 확보한 것입니다. 또한 네 발로 걷는 유인원식 보행보다 직립보행은 장거리 이동 시 에너지 소모가 적은데요, 사바나 환경에서 먹이를 찾아 넓은 거리를 돌아다녀야 했던 초기 인류에게 큰 장점이었습니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침팬지식 네발 걷기보다 인간의 두 발 보행이 약 25% 더 효율적입니다. 마지막으로 직립보행의 가장 큰 혁신은 앞다리, 즉 팔이 자유로워졌다는 점인데요 도구 제작과 사용, 먹이 운반, 새끼 보호, 무기 활용 등이 가능해졌으며 이 점은 지적 능력 발달과 문화 진화에도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번식 및 생존에 유리한 이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직립보행은 네발 보행에 비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먹이를 찾아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두 손이 자유로워지면서 도구를 만들고, 운반하며, 사용이 가능해졌고, 이는 사냥이나 식량 채집에 큰 도움을 주어 생존에 유리한 조건이 되었습니다. 또한, 포식자나 먹이를 더 멀리서 볼 수 있는 시야 확보에도 유리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점들이 인류가 직립보행을 선택하고 진화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