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고매한알파카280
고매한알파카28022.06.06

연금저축보험 아니 개인연금보험을

개인연금보험을 5 년 납입 5 년거치

10 년이 지났습니다

연금보험이 10 년이 지나도

연금을 수령하지 않으면

공시이율에 따라 이자가 계속 붙나요?

아님 이자율이 현저히 떨어지나요?

만기이후 이자율이 떨어지면

수령하고 아니면 최대한 묵혀둘려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해지하기전까지

    또는 연금전환전 까지 공시이율대로 이자가 발생하긴 합니다.

    최소보증이율이 있으니 마이너스 이율은 될일이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08

    안녕하세요. 차희수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질문자님 말씀대로 "공시이율" 즉, 기준금리에 따라 변동되는 금리입니다.

    최근 한국 기준금리의 동향을 파악해보면

    점점 떨어지는 추세였습니다.

    지금 금리가 조금씩 오르고는 있으나 코로나 등 경기침체로 인하여 돌아가는 구조를 이해하시어 판단하셔야합니다.

    또한 연금으로 수령할때 세금이 얼마나 발생할지도 확인 해보셔야합니다.

    충분한 비교 후에 연금을 수령할지

    수령 후에 자산이동플랜 등을 활용할지

    그대로 놔둘지 고민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통 세액공제를 위해 가입을 합니다.

    공시이율의 경우 금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그것보다는 비과세 나 세액공제가 얼마나 되는지 검토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고승재 보험전문가입니다.

    이자율은 변동이 있을수있어요

    그래서 어떻게 된다고 말할수없지만

    이자가 복리로 붙기때문어 장기간 유지하신다면

    당장에 빼는것보다는 이득이 더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강석호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 가입한 증권을 확인 하세요.

    연금보험 같은 경우는 판매 시점(가입 시점)에 따라 이자율이나 만기 이후 연금 수령 방법등 내용이 약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연금 지금 시기도 다르고

    지금 기간도 다르고

    이자율도 다 다릅니다

    본인 가입한 연금보험 증권 을 확인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승배 보험전문가입니다.

    납입기간 중 / 납입기간 후 이율이 다른 상품이 많이 있습니다. 납입기간 이후에도 붙기는 붙는데.. 납입기간 중에는 최저보증이율로 몇%는 보증하고, 납입기간 이후에는 보통 시중금리를 따라가게 상품 세팅이 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납입 이후 의무거치기간도 지났고, 10년이 초과되어 차익에 대한 비과세가 적용되었다면 최근 판매하는 다른 상품들과 비교하여 새로 가입을 하시는 편이 더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보험은 납입이 끈나더라고 보험금을 지급받기 전까지 정해진 이율에 따라 추가적으로 계속 적립이 되니 없는 셈 치고 묵혀두시면 나중에 적립액이 불어나 있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상품마다 다르지만 최저 이율은 보장하기 때문에

    거치해 두면 계속 쌓이긴 할겁니다.

    이울보장은.. 가입시점 가입상품 회상사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확답은 어렵네요.


  • 안녕하세요 프라임에셋 솔직한설계사 심주연 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일단은 공시이율 또는 최저보증이율중 더 높은 이율로 부리가 되며

    공시이율이 최저보증이율보다 더 낮을 경우에는 " 최저보증이율 " 기준으로 복리이자가 쌓이게 됩니다.

    아무래도 연금상품이기 때문에 금리자체는 다소 낮을 겁니다.

    그리고 5년납 5년거치라는 부분도 참 아쉬운 부분 입니다.

    금액대가 어떻게 되는건지는 모르겠으나 설마 해당 연금보험 한개로 본인의 노후준비를 다 끝냈다라고

    생각하신다면 큰 오산 입니다.

    국민연금은 수십년을 내는데 사적연금보험은 겨우 5년입니다.

    그리고 국민연금은 향후 뉴스에서도 나오긴 하지만 향후 감소가 아닌 고갈이 될 수 있다고도 합니다.

    그부분도 미리 염두를 하여 본인의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셔야 하지 않을까 싶어 보입니다.

    보험은 설득을 당해서 가입하는게 아니라, 본인 스스로가 납득이 되신 이후 가입을 해야 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안미정 보험/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시이율에 따라 이율이 붙습니다. 가입한 상품에 따라 납입완료후에는 최저보증이율이 제시돼 있습니다.

    콜센터에 문의하셔서 어떻게하는게 가장 유리한지 상담하시길 권합니다